손 제외한 신체 경락 침.뜸자극 위험하다(6)
'침 쇼크' 환자 체질 탓 아니다
(4) 한방 침 재질에 카드뮴이 들어있을 수 있다카드뮴에 많이 노출되면 쇼크증상 발생 - 침술 쇼크도 카드뮴의 한 원인일 수 있다국제금속검사기관의 테스트 리포트를 보면 카드뮴이 들어있을 수 있다고 보아진다. 카드뮴의 최대 검출 한계는 1ppm이나 1ppm 이상은 검출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러나 0.9ppm 이하로는 카드뮴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고 하나 한방 침의 쇼크나 부작용 증상으로 볼 때 카드뮴이 들어 갔을 것으로 판단한다. 카드뮴은 유해 금속에 속하며 주기율표 제2B속에 속하는 금속원소로 푸른기가 감도는 은백색의 무른 금속이다. 항상 아연 속에 섞여 산출되고 공기 중에서는 금속표면이 산화되어 산화피막이 형성된다. 도금에 사용되는 합금, 안료, 도체, 전지, 플라스틱, 첨가제 등에 널리 쓰인다.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의약품으로는 사용하지 않지만 각종 카드뮴염을 살균제로 사용한다.카드뮴중독은 금속카드뮴을 용해할 때 발생되는 산화카드뮴 증기나 비닐 제조공장에서 생기는 카드뮴 화합물에 의한 직업상의 중독으로 알려져 있다.침 재질에 미량의 카드뮴이 있다고 할 때 신체에 장기간 지속적으로 침술 치료를 많이 하거나 깊게 찌르면 카드뮴이 노출될 수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미량의 독성물질이 피부에 접촉하거나 인체 내에 침투되면 호르몬, 자율신경계가 즉시 민감하게 반응한다.카드뮴이 장기간 많은 양이 몸속에 축적되면 급성위염과 쇼크증상, 중증인 경우에는 사망까지 한다. 먼지나 가루로 흡입하면 호흡장애, 폐부종, 폐염을 일으키고 그 외에 신장이나 소화관 장애도 나타난다. 고혈압, 빈혈, 간장애의 만성 중독도 나타난다. 침의 재질 상 미량 유해물질을 완전히 배제할 수가 없다.(5) 한방 침 재질에 수은도 포함될 수 있다
수은중독과 침술 부작용 증상인 구토, 안면 창백, 빈맥, 혈압강하가 비숫하다침 쇼크 부작용은 환자의 체질 탓만은 아니다-침의 중금속 때문이다국제금속검사기관의 테스트 리포트에 의하면 수은도 들어있을 수 있다고 한다. 수은의 최대 검출 기준은 2ppm으로서 2ppm 이상은 검출되지 않는다고 하나 2ppm 이하로는 스테인리스 한방 침에 수은이 들어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으나 수은이 들어 있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한다. 침 재질은 위와 같이 유해 독성물질들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 물질들 속에 미량의 수은이 들어있다. 수은은 상온에서 액체로 존재하는 유일한 금속이다. 수은은 의약품으로 매독에 대한 수은연고, 소독ㆍ살균제로서의 염화제이수은, 머큐로크롬 수은이뇨제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되어 있다.수은중독은 가장 심하고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은중독에는 무기수은중독과 유기수은중독이 있다. 무기수은중독에서는 수은증기나 호흡기로 흡수되거나 침을 피부에 찌를 때 피부에 들어갈 수가 있다. 무기수은을 흡입함으로서 일어나는 급성 중독은 구내염, 유연, 복통, 구토, 설사, 안면 창백, 빈맥, 혈압강하 등의 쇼크 상태가 나타난다.침술 치료에서 허약자의 쇼크증상은 단순히 허약해서 나타났다고 보기 보다는 수은중독의 쇼크로 볼 수 있어 큰 문제가 될 수 있다.수은중독은 48시간 이내에 신부전을 일으킬 수도 있다. 수은증기로 다량 흡입하면 기침, 가래, 호흡곤란, 폐수종을 일으키고, 신경증상으로는 어지럼증, 안진, 전진, 시신경염, 운동실조와 정신증상으로는 불면증, 불안정, 억울 상태 등이 나타난다.유기수은중독으로는 주로 알킬수은, 폐닐수은으로 분류되는데 이들 물질들은 강력한 살균작용이 있다. 주로 공장 폐수에 의한 때가 많다. 대량으로 유기수은을 흡인한 경우 중독증상이 격렬하다. 손발, 입술 주위의 마비, 언어장애, 의식장애, 경련, 발작, 고열 등이 나타나고 심하면 몇 주 안에 죽는다.만성 중독으로는 손발 마비감, 감각장애, 언어장애, 청력장애, 시야협착, 소회성, 운동실조, 진전이 나타난다.침 치료시의 부작용 쇼크증상으로 유연, 복통, 구토, 설사, 안면 창백, 빈맥, 혈압 이상, 호흡곤란, 어지럼증, 떨림증상, 운동실조, 불면증, 손발 마비감, 경련 등이 나타나는 쇼크증상은 단순한 침 자극의 쇼크가 아니다. 이것은 수은중독 증상과도 연관이 있을 것으로도 보아진다. 모든 침에 수은이 들어가 있다고 볼 수는 없으나 극미량이 들어 있거나, 어느 침은 수은이 더 많이 들어갈 수 있다. 운이 나쁘면 수은이 들어간 침을 맞을 수고 있고, 수은이 들어간 침을 맞으면 쇼크, 부작용이 심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한다.침시술 시의 각종 쇼크 부작용 사례를 보면 크고 작은 침 쇼크 증상인 부작용이 많이 나타난다. 건강한 사람인데도 어느 경우는 심한 부작용이 나타나고, 허약자인데도 침의 부작용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것은 침 재질 속에 납이나 수은이 많이 포함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까지의 침 쇼크나 부작용을 환자의 체질 탓으로 몰아부치는 것이 현실이다. 침 쇼크 부작용은 환자 탓이 아니라 침 재질의 중금속인 납, 수은 탓이라고 판단된다. 비록 미량의 독성물질이나 스테인리스 침 재질에 수은이 포함될 수 있는 것에 우리들은 놀라울 뿐이다.(6) 한방 침 재질에 망간도 포함될 수 있다
피부에 망간이 침투하면 망간중독증이 발생피부에 망간이 침투하여 노출된다면 망간중독증이 일어나 침 치료 후 무기력증, 심한 피로, 식욕감퇴, 불면증 등이 나타날 수 있다.망간중독은 망간광석을 분쇄하는 작업, 망간장의 아크용점·절단, 건전지 제조 등의 현장에서 발생한다. 산화망간의 분진 등을 흡입하면 호흡기를 자극하게 되어, 심한 기침과 담을 유발하고 폐렴증세가 나타난다고 백과사전의 내용도 있다. 파킨슨증후군이 발생된다는 예도 있다.
2009/0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