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약가제도 개편 발표를 앞두고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긴급 구성된 '산업 발전을 위한 약가제도 개편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는 예상되는 약가 인하가 국내 연구개발(R&D) 기반을 약화시키고 보건안보를 훼손할 수 있다는 우려를 표명했다.
정부는 국내 약가제도 개편을 금명간 발표할 예정인 가운데 제약 업계는 이로 인한 추가적인 약가 인하를 크게 우려하고 있다. 이미 낮은 약가와 지속적인 인하 압력 속에서, 또다시 약가 인하가 현실화될 경우 신약 개발 투자가 위축되고 국내 생산 기반이 약화될 것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로 인해 고가의 수입 의약품 의존도가 심화되어 국가 보건안보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배경 속에 한국제약바이오협회를 비롯한 주요 산업 단체들은 공동 대응을 위해 비대위를 구성했다.
비대위는 27일 서울 방배동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서 비대위 제1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는 비대위 공동 위원장을 맡은 노연홍 한국제약바이오협회 회장, 류형선 한국의약품수출협회 회장·김정진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이사장·조용준 한국제약협동조합 이사장 등 공동 부위원장, 비대위 산하 기획정책위원회 김영주 위원장과 국민소통위원회 이재국 위원장, 협회와 회원사 임원 등으로 구성된 실무지원단 등이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정부의 약가제도 개선안이 정식 발표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지금까지 알려진 내용을 바탕으로 산업계에 미칠 파장을 논의하고 대응 방안을 강구했다. 특히, 산업계의 R&D 투자 증대를 통해 제약바이오강국으로 도약해야 할 골든 타임에 추가 약가 인하는 국내 R&D 역량과 제조 기반을 저해하고, 수입 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를 심화시켜 보건안보를 위협할 것이라는 점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향후 전망 및 대응 방안 비대위는 향후 정부에 약가제도 개편에 대한 합리적인 의견을 전달하고,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계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적극적으로 제시할 계획이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