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정기석)이 네이버와 협업하여 국민들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검색 플랫폼을 통해 건강보험 빅데이터 기반의 '진료 관련 통계' 서비스를 지난 21일부터 새롭게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는 건보공단의 방대한 공공데이터와 네이버의 기술을 결합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합리적인 의료 이용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이번 서비스는 국민들이 네이버를 통해 자주 검색하는 관심 질환 중 분석 가능한 125개 질병을 우선 선정하여 제공된다.
네이버 검색창에 질병명(예: 대상포진, 고혈압)을 입력하면 해당 질병에 대한 임상 정보와 함께 건보공단 빅데이터 기반의 통계 정보가 조회된다.
환자수 통계는 2024년 기준 연령대별 진료 실인원, 환자 성비 등 실제 진료를 받은 환자 수를 제공한다.
진료비 통계는 최근 5개년도(2020~2024년)의 1인당 연간 외래·입원별 총진료비 평균 및 범위를 제공한다.
총진료비는 본인부담금과 보험자 부담금을 합산한 금액이며, 통계의 합리성을 위해 환자의 중증도나 동반상병 등 요인은 반영되지 않았고 청구 방식 등을 고려하여 상하위 5%를 제외하고 산출됐다.
정기석 건보공단 이사장은 "이번 서비스는 국민이 일상 속에서 공신력 있는 건강 정보를 쉽게 접할 수 있도록 공공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와 민간의 기술을 결합한 민관협업의 모범사례"라며, "앞으로도 국민의 건강정보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