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의료기기 R&D에 7년간 9400억원 투자...AI·로봇 활용 유망 분야 집중 육성

복지부 등 4개 부처 합동,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 추진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4개 부처가 2026년부터 7년간 총 9,408억 원 규모의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을 추진한다.

이는 세계 최초 또는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저급' 의료기기 6건 개발과 필수의료기기 13건 국산화를 목표로 하며,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미래 유망 분야에 전략적으로 투자하여 의료기기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전망이다.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은 세계 최초 또는 최고 수준의 게임체인져급 의료기기 6건 개발, 필수의료기기 13건의 국산화 등의 성과 달성을 목표로 추진하는 범부처 협력사업으로, 기초·원천연구부터 제품화, 임상, 인허가까지 의료기기 연구개발의 전주기를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인공지능(AI)과 로봇 등 첨단기술을 활용한 의료기기 등 미래 유망분야에 대한 전략적 육성에 중점을 둬,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의료기기 산업을 국가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 사업은 2020년부터 추진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1기)'의 성공적 성과를 바탕으로 '25년 8월 국가연구개발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했다. 1기 사업에서는 총 467개의 과제가 지원되어 최근 5년간('20~'24년) 국내외 인허가 433건(국내 331건, 해외 102건), 기술이전 72건, 사업화 254건의 성과를 거두었으며,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인공신장용 혈액여과기의 국산화, 세계 최초 인공지능(AI) 기반 뇌경색 진단보조 소프트웨어 의료기기 개발 등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했다.

정부는 이러한 성과가 단절되지 않고 이어질 수 있도록 후속사업을 통해 의료기기 R&D 전주기 지원을 지속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관계 부처 합동으로  5일 프레지던트 호텔에서 사업설명회를 개최하고, 2026년도 신규과제 참여 방안 및 일정 등을 안내하며 연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했다.

이번 '범부처 첨단 의료기기 연구개발사업(2기)' 추진은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와 국가 보건 안보 강화라는 두 가지 핵심적 의미를 갖는다.

대규모의 다부처 협력 R&D 투자는 국내 의료기기 기술 수준을 세계적인 수준으로 끌어올리고, AI, 로봇 기술 등 미래 혁신 분야를 선점할 기회를 제공하고, 특히 필수의료기기 국산화 목표 달성은 특정 품목의 수입 의존도를 낮춰 의료 현장의 수급 안정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는 "이번 사업은 국가 성장동력인 첨단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범부처 협력 사업이다"라고 강조하며,"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연구자들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연구 현장과 지속적으로 소통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