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3분기 누적 매출 1.1조 돌파... 영업이익 8.0% 성장

로수젯' 등 복합신약 견인, '엔서퀴다' 선급금 유입으로 수익성 증대... R&D 투자 623억 원

한미그룹 본사

한미약품이 3분기 만에 누적 매출 1조1146억원을 달성하는 등 외형 성장과 내실 강화 부문에서 모두 견실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올해 초 구축된 안정적 전문경영인 체제 기반의 경영 활동을 통해 제품과 신약, R&D, 수출 등 각 부문에서의 시너지가 이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한미약품은 30일 공시를 통해 올해 3분기 연결기준 잠정 실적으로 매출 3623억 원, 영업이익 551억 원, 순이익 454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8.0%, 29.9%씩 증가하며 견실한 상승세를 이어갔다.

회사 측은 안정적인 전문경영인 체제 기반 아래 제품, 신약, R&D, 수출 등 각 부문에서의 시너지가 실적을 견인했다고 평가했다.

한미약품의 3분기 원외처방 매출(UBIST 급여기준)은 전년 동기 대비 3.0% 성장한 2,565억 원을 달성했다. 한미약품은 2018년부터 8년 연속 국내 원외처방 매출 1위 달성이 유력시된다.

주요 품목별로 보면, 이상지질혈증 치료 복합신약 '로수젯'이 전년 동기 대비 10.1% 증가한 589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고혈압 제품군 '아모잘탄패밀리'는 370억원, 위식도역류질환 제품군 '에소메졸패밀리'는 157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특히 당뇨병 신제품 '다파론패밀리'는 전년 동기 대비 58.7% 증가하며 블록버스터 진입이 전망된다.

중국 현지법인 북경한미약품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941억원, 영업이익 236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11.6%, 57.6% 증가하는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한미약품은 미래 성장 동력 창출을 위해 3분기 연결기준 매출의 17.2%에 해당하는 623억원을 R&D에 투자했다.

R&D 부문에서는 비만신약 프로젝트 'H.O.P(Hanmi Obesity Pipeline)'의 성과가 두드러진다. 선두 주자인 '에페글레나타이드'의 임상 3상 중간 톱라인 결과가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며 '국민 비만약' 기대감을 높였다.

또한,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LA-GLP/GIP/GCG, HM15275)의 상용화 목표 시점은 2030년, 신개념 비만치료제(LA-UCN2, HM17321)는 2031년으로 설정하고 개발을 가속하고 있다.

항암 분야에서도 표적 단백질 분해(TPD), 메신저 리보핵산(mRNA), 항체-약물 접합체(ADC) 등 차세대 혁신 기술 역량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한미약품 박재현 대표이사는 "3분기는 혁신 제품의 견고한 성장과 글로벌 신약개발 임상 진전이 어우러져 내실을 강화한 의미 있는 시기였다"며 "앞으로도 브랜드 경쟁력을 토대로 글로벌 진출을 확대하고, 신약 파이프라인의 미래 가치를 높여 주주 기대에 보답하겠다"고 말했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