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성모병원, AI 음성인식 의무기록 솔루션 도입

LLM 기반 차세대 'CMC GenNote' 운영

CMC GenNote를 체험 중인 서울성모병원 이지열 원장과 의료진

서울성모병원이 AI 음성인식 의무기록 솔루션을 도입하며 미래형 스마트병원에 한 발짝 더 다가섰다.

서울성모병원(원장 이지열)은 퍼즐에이아이와 함께 개발한 LLM(대규모 언어모델) 기반 차세대 AI 의무기록 솔루션의 시범운영을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시범운영은 최근 서울성모병원과 퍼즐에이아가 협약한 '전(全)주기 생성형 의무기록 개발' 프로젝트의 첫 성과로, 스마트병원 주도하에 의료진들의 행정적 부담을 획기적으로 줄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특히 의무기록 작성 주체로서 가장 비중이 큰 직종 중 하나인 전공의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해당 솔루션은 병원이 2019년부터 운영해 온 Voice EMR(음성 전자의무기록) 시스템을 한 단계 발전시킨 것이다.

기존 시스템이 주로 영상, 병리, 진단검사 분야 등에서 '음성인식을 통한 전사'에 초점을 맞춰 판독문을 생성하는데 활용됐다면, 신규 시스템은 음성만으로 필요한 서식을 호출하고 내용을 발화하면 각 서식에 맞게 가공된 내용이 전자의무기록(EMR)으로 전달되는 차세대 AI 기술이다.

이를 통해 다양한 잡음과 전문 용어로 인해, 음성을 단순히 받아쓰는 기술만으로는 활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진 의료 현장을 고려해 올인원(All-in-One) 시스템으로 도입됐다.

'CMC GenNote'는 기록자의 음성만 인식하는 특수 마이크에 더해, 의료기관 특화 대규모 언어모델과 AI 에이전트가 결합돼 높은 신뢰성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졌다.

기술을 통한 창의적 해법이라는 차원에서, 병원은 이를 통해 의료진들의 근무 부담을 덜고 번아웃을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는 게 병원측의 기대다.

또한 이는 최종적으로 환자와의 직접 소통 시간을 늘려 진료의 질과 환자 만족도를 동시에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병원 원내에 마련된 체험존에서 솔루션을 사용해 본 비뇨의학과 류승아 전공의는 "체험 결과 진료 현장에서 사용하기에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향후 본 사업을 통해 병원 전체에 확산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지열 원장은 "기술 개발 자체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의료진들에게 모니터보다는 환자의 상태를 한 번 더 볼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해주고 싶었다"며 "환자 만족도부터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를 가져오는 모범사례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시범운영은 지난 9월 '세대를 이어가는 혁신, 미래를 준비하는 병원'이라는 취임 일성으로 임기를 시작한 이지열 원장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알려졌다.

의무기록 작성 부담 경감은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특히 최근 복귀한 전공의들의 수련 시간 확보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CMC GenNote 도입 실무는 서울성모병원 스마트병원 (스마트병원장 정찬권 교수·병리과)이 구심점이 되고 있으며, 시범운영 기간 외래 일부 임상과 순차 도입 후, 본 사업 과정에서 수술실, 응급실, 병동 등으로 확대 적용할 예정이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