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저질환 있어도 가능한 '디지털 임플란트', 정밀성 높이고 부작용 줄여

고르다치과의원 부산점 강용욱 원장 "수술 후 철저한 사후 관리도 중요"

고르다치과의원 부산점 강용욱 대표원장

고령 인구가 늘면서 치아 상실로 인한 보철 수복 치료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중 고혈압, 당뇨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이들은 수술에 대한 부담으로 임플란트를 망설이기도 한다. 다행히 디지털 임플란트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우려를 상당 부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디지털 임플란트는 고령층이나 기저질환 환자도 안전하게 임플란트를 받을 수 있도록 돕는 첨단 방식이다. 고혈압이나 당뇨가 있다고 해도 상태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면, 정밀한 사전 진단과 계획을 통해 맞춤 식립술이 가능하다. 특히 출혈과 감염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적이다.

기존 임플란트 수술은 의사의 숙련도와 감각에 크게 의존했지만, 디지털 임플란트는 컴퓨터 분석과 3D CT 영상,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정밀한 수술 계획을 수립한다. 모의 수술을 통해 이상적인 보철물 위치와 식립 각도를 사전에 확인하고, 실제 수술 시 오차를 최소화한다. 이를 통해 시술 시간 단축은 물론 회복 기간과 통증을 줄이는 데에도 도움이 된다.

더욱이 절개 범위를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잇몸과 뼈에 가해지는 자극이 적고, 고혈압이나 당뇨 등으로 면역 기능이 저하된 환자에게도 부담이 덜하다. 수술 후 감염이나 출혈에 대한 걱정도 덜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디지털 임플란트가 무조건 성공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아무리 기술이 정밀해도 수술을 진행하는 의료진의 경험과 노하우가 중요하다는 점은 변하지 않는다. 디지털 장비를 제대로 다룰 줄 아는지, 복잡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임상 경험이 있는 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디지털 장비는 도구일 뿐,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수술의 결과는 달라지기 때문이다.

고르다치과의원 부산점 강용욱 대표원장은 "수술 후 철저한 자기관리가 뒷받침돼야 임플란트를 오래 사용할 수 있다. 구강 위생 관리, 정기적인 검진, 금연 및 식습관 개선 등은 임플란트 수명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다. 아무리 최신 기술을 적용했다 하더라도, 사후 관리가 부족하면 염증이나 임플란트 주위염 등의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치과 선택 시에는 디지털 임플란트 시스템이 갖춰져 있는지, 해당 장비를 실제 임상에 얼마나 활용해왔는지, 다양한 환자군에 대한 시술 경험은 충분한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고령이거나 기저질환이 있는 환자일수록 이러한 요소들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임플란트는 단순히 치아를 대체하는 수술이 아니라,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치료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그 문턱이 낮아졌지만, 환자 개개인의 상황에 맞춘 정밀한 접근과 꾸준한 관리가 뒷받침될 때 비로소 그 진가를 발휘할 수 있다.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