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상선 호르몬 부족해도 평생 약 복용하면 정상 생활 가능"

고령화·갑상선암 수술 증가로 환자 68만명… 조기 발견·치료가 핵심

송기호 교수

갑상선 기능저하증은 갑상선 호르몬이 부족해 신진대사가 떨어지는 질환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통계에 따르면 국내 환자 수는 약 68만 명에 달한다. 피로감, 체중 증가, 추위를 많이 타는 증상이 대표적이지만 조기에 진단해 호르몬제를 복용하면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 건국대병원 내분비내과 송기호 교수에게 갑상선저하증의 특징과 관리법을 들어봤다.

송 교수는 "환자가 늘었다기보다 고령 인구 증가와 함께 기능 저하가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며 "갑상선암 수술로 인해 호르몬 분비가 사라지거나, 일부 표적항암제가 기능을 떨어뜨리는 경우도 원인으로 작용한다"고 설명했다.

주요 증상은 신진대사 저하와 관련이 깊다. 추위를 잘 타고, 얼굴이 푸석해지며 피로가 심해진다. 체중이 쉽게 늘고 기억력이 떨어지거나 변비가 동반되기도 한다. 심한 경우 심장에 물이 차거나 의식을 잃는 점액수종 혼수까지 진행될 수 있다.

다만 피로감만으로는 의심하기 어렵다. 송 교수는 "피로의 가장 큰 원인은 정신적 요인으로, 실제 내분비 질환이 원인인 경우는 많지 않다"며 "체중 증가, 추위 민감성 등 다른 증상과 함께 나타날 때 저하증을 의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혈관 질환 위험도 높다. 갑상선 기능이 떨어지면 나쁜 콜레스테롤(LDL)이 상승하고 체중 증가로 이어져 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진다. 특히 경계 단계인 불현성 갑상선저하증 환자에서도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치료는 비교적 간단하다. 하루 한 번 아침 공복에 호르몬제를 복용하면 된다. 약의 반감기가 길어 하루를 거르더라도 큰 문제가 없으며, 빼먹은 날은 다음 날 두 알을 복용해도 된다. 송 교수는 "약을 규칙적으로 복용하는 것만으로도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대부분 평생 복용이 필요하다. 대표적인 원인 질환인 하시모토 갑상선염은 자가면역 질환으로, 갑상선 조직이 파괴돼 호르몬을 만들 수 없게 된다. 염증이 호전돼 약을 중단하는 경우도 있지만 드물다. 송 교수는 "10명 중 1명 정도만 약을 끊을 수 있고, 대부분은 평생 복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예방보다는 조기 진단이 중요하다. 유전적 요인과 요오드 과잉 섭취, 여성호르몬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발생하기 때문에 피하는 것이 쉽지 않다. 하지만 건강검진에서 시행하는 갑상선 기능 검사를 통해 조기 발견이 가능하다.

환자 발생은 여성에서 더 많다. 남성보다 약 5배 높은 발병률을 보이며, 특히 40대 이후 증가한다. 반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은 20~30대 젊은 층에서 흔하다.

송 교수는 "갑상선저하증은 치료가 간단하고 예후가 좋은 질환"이라며 "평생 약을 먹어야 하지만 꾸준히 관리하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므로, 정기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