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 전 혈액·CT 정보만으로 담낭암의 조기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노모그램(예측 모델)이 개발됐다. 수술 후 1년 이내 재발 위험을 예측하는 모델로 향후, 임상 현장에서 폭넓게 활용할 경우 담낭암 환자들의 예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윤소경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 외과 교수 연구팀은 지난 4월 국제 암 학술지 '캔서스(Cancers)'에 발표한 '수술 전 이용 가능한 예후 인자를 이용한 담낭암 조기 재발 예측 노모그램의 개발 및 외부 검증: 한국 다기관 후향적 연구(Development and External Validation of a Nomogram Predicting Early Recurrence of Gallbladder Cancer Using Preoperatively Available Prognosticators : A Korean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논문에 이 같은 내용을 담았다.
윤소경 교수팀은 지난 2008년부터 2017년까지 담낭암 완치 목적의 절제술을 받은 25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담낭암 조기 재발과 관련된 수술 전 예후 인자를 분석했다.
노모그램에 활용한 수술 전 예후 인자는 ▲성별(남성) ▲만성 간 질환 ▲수술 전 증상 ▲CEA(암태아항원) 수치 상승 ▲근감소성 비만 ▲임상 T3 이상 병기 ▲림프절 전이 의심 등 7가지 지표이다. 지표 중 만성 간 질환과 CEA 수치상승은 혈액 검사로 확인할 수 있고 근육감소성 비만과 임상 T3 이상 병기, 림프절 전이 의심은 CT 영상 정보로 확인이 가능하다.
연구팀은 개발한 노모그램의 임상적 유효성과 실제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순천향대 서울병원, 순천향대 부천병원, 경북대 칠곡병원의 환자 176명을 대상으로 예측 정확도도 검증했다. 검증결과 노모그램은 내부 검증에서 약 87.2%의 강력한 예측력을 보였고 외부 검증에서도 약 70.3%의 예측력을 보여, 임상 현장에서도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소경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담낭암 조기 재발 예측 노모그램은 수술 전 환자의 재발 위험도를 예측하여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선제적이고 강화된 치료 전략을, 저위험군 환자에게는 불필요한 침습적 치료 부담을 줄여주는 등 환자 맞춤형 치료의 기반을 마련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담낭암은 국내에서 비교적 드물게 발생하지만, 진단 시 이미 상당 부분 진행되어 있거나 수술 후에도 재발률이 높아 예후가 좋지 않아 난치암으로 분류된다. 특히 수술 후 1년 이내에 재발하는 조기 재발은 환자의 장기 생존율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술 전 미리 재발 위험도를 예측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