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헬스케어, AI 기반 의료기기 FDA 승인 100건 등재… 4년 연속 1위
AI 기반 의료기기 R&D 투자 확대… 생산성, 효율, 진단 신뢰도 향상 통해 장기 성장 견인
GE헬스케어는 최근 미국 FDA로 부터 AI 기반 의료기기 100건에 대한 인허가 승인을 받으며 4년 연속 최다 등재를 기록했다고 11일 밝혔다. GE헬스케어는 정밀의료(precision care) 분야를 선도하는 AI 솔루션 개발을 위해 연구개발(R&D)에 꾸준히 투자해왔다.
GE헬스케어가 추구하는 정밀의료 전략의 핵심은 스마트 디바이스,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으로, 이는 환자 치료 성과를 높이고 의료진의 업무 효율을 크게 개선한다. AI기술이 적용된 의료기기들은 고객들의 도전과제 해결을 지원하고 있으며,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회사의 성장에 기여하고 있다.
이러한 성과는 GE헬스케어가 200건 이상의 인허가 획득의 목표에 다가서고 있음을 입증한다.
GE헬스케어 CTO 타하 카스하웃 박사는 "GE헬스케어는 AI 의료 기술을 선도하고 있으며, 연구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차세대 솔루션을 개발해 나가고 있다"며 "이 기술들은 의료진 부족, 번아웃, 비용 증가, 워크플로우 효율성 저하 등 의료진이 직면한 도전과제들을 해결하는데 주력한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제품 개발의 모든 단계에서 안전성, 유효성, 투명성, 설명 가능성, 공정성 등의 가치를 담은 '책임 있는 AI(Responsible AI)' 원칙을 준수해 나갈 것이다"고 강조했다.
FDA의 AI 기반 의료 기기 목록에 등재된 100건의 GE헬스케어 기술들은 영상 진단 및 치료 여정 전반에 걸친 의료 기술의 진보를 보여주며, 종양학, 심장학, 신경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치료 부담을 줄이고 워크플로우를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해당 목록은 FDA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하다.
카스하웃 박사는 "GE헬스케어는 오늘날 긴급한 의료 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기술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성과는 의료 영상 기기 뿐 아니라 헬스케어 전반에 걸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 도약하는 데 있어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이를 통해 고객의 현재 요구를 충족하는 동시에, 급변하는 의료 환경 속에서도 선도적으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GE헬스케어는 AI,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기술을 통해 진료 전 과정, 병원 시스템 전반에 이르기까지 의료 기술의 고도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고령화 사회, 만성질환 관리, 원격의료 등 전 세계가 직면한 주요 과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해 매진하고 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