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증후군, 조기 치매 '위험 신호' 될 수 있다
한림대성심병원·동탄성심병원 연구팀 198만명 약 7.8년 추적해
대사증후군 요소 5가지 모두 해당 시 조기치매 위험 70% 증가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조기 치매 위험이 24% 더 높으며, 특히 대사증후군의 다섯 가지 요소를 모두 가진 경우 약 70%까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한림대성심병원 신경과 이민우 교수(교신저자),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순환기내과 천대영·숭실대학교 정보통계보험수리학과 한경도·순천향대학교 신경과 이정윤 교수 연구팀은 대사증후군과 조기 치매 발생 간의 상관성을 대규모 데이터를 토대로 분석했다.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고혈당 △혈중 중성지방 증가 △고밀도 지단백(HDL) 콜레스테롤 감소 등의 상태가 동시에 나타나는 상태다. 이러한 변화가 지속되면 혈관에 염증과 손상이 발생하고, 뇌로 가는 산소 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인지기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대사증후군은 심장질환·뇌졸중·당뇨병뿐 아니라 최근 인지기능 저하와 치매의 주요 위험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20년까지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데이터를 바탕으로 40~60대 남녀 약 198만명을 평균 7.8년간 추적 관찰했다. 전체 참여자의 약 25%가 대사증후군에 해당했으며, 진단 기준은 5가지 지표(복부비만, 고혈압, 고혈당, 혈중 중성지방 증가, HDL 콜레스테롤 감소) 중 3가지 이상에 해당하는 경우로 정의했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보유자는 조기 치매 위험이 24%(HR 1.24, 95%, CI 1.19~1.30) 더 높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알츠하이머병 위험이 12%(HR 1.12, 95%, CI 1.03~1.22), 혈관성 치매 위험이 21%(HR 1.21, 95%, CI 1.08~1.3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사증후군의 5가지 지표에 모두 해당할 때는 조기 치매 발생 위험은 약 7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이번 연구는 체중과 관계없이 대사질환이 동반되면 치매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실제로 정상 체중이지만 대사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위험이 비만군보다 더 높았다.
이민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대사증후군이 조기 치매의 중요한 위험 요인임을 확인했다"며 "대사 건강 관리가 곧 뇌 건강 관리로 이어질 수 있다"며 "건강한 생활 습관을 통해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면 조기 치매 발생 위험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대사증후군과 조기 치매의 연관성(Associ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and Young-Onset Dementia)'이라는 제목으로 미국신경학회(ANN) 공식 학술지 ' Neurology' 4월호에 게재됐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