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교수팀이 식도암 최소침습 식도절제술에 있어 기존 흉강경 기반 수술보다 로봇수술이 안전성·효과성이 더 높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은평성모병원은 최근 위장관외과 김동진 교수팀(의정부성모병원 위장관외과 이준현 교수)이 '로봇을 활용한 최소침습 식도절제술(RAMIE)'이 기존 '흉강경 기반 최소침습 식도절제술(MIS)' 대비 입원 기간 및 합병증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 교수팀은 지난 2019년 3월부터 2024년 12월까지 은평성모병원과 의정부성모병원에서 식도암 수술을 받은 환자 51명에 대한 후향적 분석을 실시했다.
구체적으로 식도암 수술환자를 RAMIE 그룹 23명과 MIS 그룹 28명으로 분류해, 두 그룹의 입원 기간·합병증 발생률·생존율 등을 비교했다.
그 결과 RAMIE 그룹의 평균 입원 기간은 18.8일로, 환자 간 입원 기간의 차이는 10.2일이었다. 반면, MIS 그룹은 평균 33.2일, 환자 간 입원 기간 차이는 30일로 나타났다.
또한 RAMIE 그룹은 입원 기간이 전반적으로 짧을 뿐 아니라, 환자 간 입원 기간의 차이도 상대적으로 균일한 경향을 보였다.
특히, 중증 폐렴 발생률은 RAMIE 그룹에서는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MIS 그룹에서는 전체의 25%에서 중증 폐렴이 발생해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p=0.03)가 있었다.
전체 폐렴 발생률 또한 RAMIE 그룹은 8.7%, MIS 그룹은 28.6%로 로봇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회복 경과가 더욱 안정적이었음을 확인했다.
반면 암 치료 성과 측면에서는 RAMIE 그룹과 MIS 그룹, 두 군 간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고 전체 환자의 3년 무병 생존율은 80.2%로 안정적 수치를 기록했다.
병기 I기와 II기 환자에서는 재발이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수술의 종양 치료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국소 재발이 없었다는 점에서 두 수술의 효과가 모두 입증되기도 했다.
김동진 교수는 "이번 연구는 위장관외과 전문의가 직접 시행한 로봇수술의 안전성과 치료 성과를 객관적으로 입증한 결과"라며 "정교한 기구 조작과 넓은 시야 확보가 가능한 로봇수술의 특성이 환자의 빠른 회복과 합병증 감소에 기여한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우수성을 인정받아 지난 6월 28일, 그랜드 하얏트 인천에서 열린 '2025 대한위장관외과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우수구연상을 수상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