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교수팀이 약물치료로 났지 않는 여드름에 대해서 레이저·고주파 등 비약물 치료 옵션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중앙대병원은 피부과 박귀영 교수팀(홍지연·석준 교수, 중앙대광명병원 피부과 한혜성 교수)이 최근 여드름 및 여드름 흉터 치료를 위한 비약물적 치료법의 최신 연구 동향과 임상 적용 가능성을 종합 정리한 리뷰 논문을 통해 이 같은 사실을 발표했다고 10일 밝혔다.
교수팀에 따르면 여드름은 단순한 피부 트러블을 넘어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으로, 전 세계 인구의 약 80%가 경험하며, 특히 청소년기에는 85% 이상의 높은 유병률을 보이는 대표적인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여드름 치료에 있어 일차적으로 바르는 연고나 경구약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치료가 환자에 따라 부작용이 생기거나 치료 효과에 한계가 있어 비약물적 치료법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는 것.
이에 교수팀은 최근에는 항생제 내성 증가, 약물 부작용, 재발 문제 등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는 비약물 치료 옵션들을 중심으로 장단을 연구·정리했다.
구체적으로 대표적인 에너지 기반 장비(EBD)와 화학적 박피를 중심으로 △가시광선 요법 △감광펄스 치료 △광역학요법 △광열요법 △마이크로니들 고주파 치료 △레이저 치료 △화학적 박피 등을 제시하고 각 치료법의 작용 원리, 임상 효과, 장단점을 정리했다.
홍지연 교수는 "여드름은 단순한 미용 문제가 아니라 우울감·불안 등 정신적 고통으로 이어질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석준 교수는 "환자 상태와 병변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비약물 치료법을 조합하면, 약물치료의 한계를 극복하면서도 부작용을 줄이고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며 "정확한 진단을 바탕으로 개별화된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혜성 교수는 "최근 에너지 기반 장비와 화학적 박피를 포함한 비약물 치료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며 "여드름뿐만 아니라 흉터·색소침착 등 이차적인 피부 변화까지 함께 개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임상적 활용 가치가 큰 만큼, 환자 맞춤형 통합치료의 일환으로 비약물적 접근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SCIE급 저널 국제학술지 대한의학회지 최신호에 게재됐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