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가 후 아이가 '눈이 따갑다'?… "눈에 화상 가능성"

도움말/ 김주연 세란병원 안과센터 센터장

자외선에 오래 노출된 피부는 타거나 살갗이 벗겨진다. 강한 햇빛과 폭염이 이어지는 한여름에는 자외선으로부터 건강을 지켜야 하는데, 이는 눈 건강도 예외가 아니다. 우리의 눈도 자외선에 오래 노출이 될 경우 화상을 입는다. 눈이 강한 자외선에 노출된다면 각막 상피에 화상을 입으며 통증을 유발하는 광각막염이 발생한다.

여름은 자외선 지수가 높고 야외 활동이 많아지기 때문에 광각막염 발생률이 상대적으로 높다. 특히 바닷가나 산에서 많이 발생하며 겨울철에는 스키장에서도 흔하다. 여름철 해변은 자외선(UV-B) 지수가 매우 높다. 자외선은 각막의 상피세포를 손상시켜 광각막염을 유발한다. 특히 햇볕이 강한 오전 10시~오후 3시 사이는 고위험 시간대다.

자외선 반사광 효과로도 눈이 손상된다. 해변에서는 마른 모래, 바닷물, 물결 표면이 자외선을 강하게 반사한다. 건조한 모래는 자외선을 최대 25%, 바닷물은 최대 30% 반사할 수 있다. 눈은 직접적인 자외선뿐 아니라 반사된 자외선에도 노출돼 이중으로 피해를 입는다.

세란병원 안과센터 김주연 센터장은 "해변에서는 강한 자외선과 반사광 효과가 있음에도 많은 사람들이 선글라스를 착용하지 않거나 UV 차단 기능이 없는 렌즈를 착용한다"며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선글라스는 동공을 확대시켜 오히려 자외선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어린이는 성인보다 눈이 더 민감하고 보호 본능이 부족해 광각막염에 더 쉽게 노출된다. 어린이의 각막과 수정체는 상대적으로 더 투명해 자외선이 망막까지 도달할 가능성이 높다. 선글라스나 모자 착용 습관이 부족하고 햇빛을 오래 쳐다보는 경우도 흔하다. 따라서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UV400 이상 차단되는 어린이용 선글라스를 사용하도록 교육해야 한다.

광각막염 증상은 바로 나타나지 않는다. 대개 6~12시간 후 굵은 모래가 굴러다니는 듯한 통증이나 이물감 등의 불편한 증상을 느낄 수 있다. 눈부심이 생기거나 눈물이 많이 흘러 눈을 뜨기 힘들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은 반나절 후에 시작되므로 보통 휴가를 다녀온 후에야 증상을 알아차리는 경우가 많다. 어린이의 경우 '눈이 아프다' '눈이 따갑다'는 말을 반복할 경우 광각막염 가능성이 있으며 즉시 안과 진료를 받아야 한다.

세란병원 안과센터 김주연 센터장은 "광각막염은 대부분 24~72시간 내에 회복되지만 증상이 악화되면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항생제 안약, 진통제 등을 처방한다"며 "광각막염은 충분히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자외선 지수가 강한 시간대를 피해 활동하고, 어른에 비해 눈 자체가 연약한 아이들은 보호자의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주연 센터장은 "꼭 여름이 아니더라도 보호안경 없이 용접할 경우, 락스 사용 등 일상적인 행동에 의해 광각막염이 생기는 경우도 많다"며 "자외선 차단 선글라스를 선택할 때는 짙은 색상보다 UV 차단 기능 유무가 더 중요하며, 용접과 스키 등 특수 환경에서는 보호장비가 필수다. 렌즈 착용자나 어린이의 경우 광각막염 예방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설명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