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몸뼈이식이 임플란트 치료의 중요한 전제조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노화, 잇몸 질환, 혹은 치아 상실로 인한 방치 등으로 잇몸뼈가 약해진 이들이 늘면서 단순히 인공치아를 심는 것을 넘어 잇몸뼈를 보강하는 치료까지 함께 병행해야 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는 것이다.
나이가 들수록 치아는 약해지고 잇몸도 점차 힘을 잃는다. 치아가 흔들리거나 통증이 발생하면 음식물 섭취는 물론 말하기, 웃기 등 일상적인 행동조차 불편해진다. 자연치아를 오랫동안 유지하려면 정기적인 관리와 조기 치료가 필수다. 그러나 많은 이들은 눈에 띄는 통증이 없으면 치과 방문을 미루기 마련이다. 문제를 방치하면 치아는 회복되지 못하고 결국 상실로 이어진다.
고르다치과의원 강남점 고상훈 대표원장은 "치아를 잃은 후에는 틀니, 브릿지, 임플란트 등의 치료로 대체 가능하다. 그중 임플란트는 저작력과 심미성에서 높은 만족도를 보이며 최근 가장 선호되는 치료법이다. 하지만 임플란트를 식립하려면 튼튼한 잇몸뼈가 필요하다. 잇몸뼈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 뼈이식 없이는 안정적인 식립이 어려워진다"고 설명했다.
잇몸뼈이식은 치조골이 부족한 부위에 인공 뼈 재료를 보강해, 임플란트 식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치료다. 오랜 기간 치아가 빠진 채로 방치했거나, 중증 치주염으로 뼈가 손상된 경우, 선천적으로 뼈 두께가 얇은 경우 모두 뼈이식이 필요할 수 있다. 뼈이식을 통해 충분한 골량을 확보하지 않으면 임플란트가 제대로 고정되지 못하거나, 수술 후 실패할 확률이 높아진다.
고 원장은 "이식에 사용되는 골재는 자가골(환자 본인의 뼈), 동종골(사람의 기증 뼈), 이종골(동물 유래), 합성골 등 다양하다. 최근에는 이종골이 감염 위험이 낮고 우수한 골형성력을 보이며 경제성까지 갖춰 선호되고 있다. 골이식재는 내 몸의 조직과 융합되며 점차적으로 새로운 뼈로 대체되는 과정이기 때문에, 반드시 자가골만이 좋은 선택은 아니다"고 전했다.
중요한 것은 이식재의 종류보다 시술자의 숙련도와 임상경험이다. 환자의 구강 상태를 정밀하게 진단하고, 그에 적합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의료진의 노하우가 치료의 성패를 가른다.
잇몸뼈이식은 단지 보조적인 수술이 아니라, 임플란트를 오래 사용하기 위한 결정적인 기반이다. 따라서 치아 상실 이후 임플란트를 고민하고 있다면, 먼저 잇몸뼈 상태를 정확히 확인받고 필요 시, 뼈이식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치과를 정기적으로 방문해 스케일링과 치주 관리를 병행하면, 잇몸뼈는 더욱 건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신뢰할 수 있는 의료진과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치과를 찾는다면, 뼈이식과 임플란트 모두 만족스러운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