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장관 송미령, 이하 농식품부)는 국가데이터처 9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결과 농축산물은 전년동월대비 1.3% 상승해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8월에는 전년동월대비 4.4% 상승하여 추석을 앞두고 농축산물 물가 상승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으나, 농업인의 생육 관리, 정부의 추석 성수품 선제적 공급 확대 및 할인 지원 등으로 안정된 것으로 평가된다.
채소류는 현재 출하 중인 여름작형 배추, 무 당근, 양배추 등의 생산량 증가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금번 소비자물가지수도 전년동월대비 12.3% 하락했다.
배추는 8월 폭염·가뭄, 9월 잦은 강우로 출하량이 일부 감소했지만, 역대 최대 수준으로 확보한 정부 가용물량(35.5천톤)을 시장에 적시 공급함에 따라 가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특히 가을 작형 재배면적도 증가(배추 2.5%↑, 무 7.4%↑)하여 김장철에도 안정적인 공급 여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배추 등 노지 채소류는 기상 여건에 따라 생산 변동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병해충 방제·물관리 등 생육 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그 외 마늘·양파 저장량, 고추 생산량 증가하여 내년까지 안정적 공급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과일류 중 사과, 배의 전반적인 생육상황은 병해충(탄저병 등)이 적어 양호한 상태이다. 다만, 사과는 전년 대비 늦은 추석에 따라 출하량이 성수기에 집중되며, 시기 상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전년보다 다소 높았지만(5.5%↑), 생산량은 전·평년 수준으로 추석 성수기를 지나며 공급이 안정화되고 있다. 배 생산량도 전·평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본격적인 수확철을 앞두고 기상급변에 대비한 작황관리 강화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쌀은 정부 대책, 작황 및 잦은 비로 인한 조생종 수확 지연 등으로 산지 유통업체의 원료벼 확보 경쟁이 심화되면서 전년동월대비 15.9% 상승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정부양곡 5.5만 톤을 대여 방식으로 산지유통업체에 공급했으며, 유통업체 할인 행사(8.1~)를 통해 소비자 부담 완화도 병행해 최근 상승폭은 완화하는 추세다.
농식품부는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쌀 할인행사 연장을 검토하고, 양곡수급안정위원회를 거쳐 수확기 쌀 가격 안정 대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축산물은 한우 공급 과잉으로 가격이 낮았던 지난해 기저효과 등의 영향으로 전년동월대비 5.4% 상승했으나, 정부 할인지원과 자조금을 활용한 할인행사 추진 등으로 상승폭은 지난달(7.1%↑)보다 둔화됐다. 농식품부는 추석 성수기 축산물 수급 안정을 위해 소고기 및 돼지고기 공급을 평시 대비 1.3배 이상 확대하고 있으며, 소비자 장바구니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추석 이후에도 자조금 및 유통업체 등과 협업해 한우·한돈 등 국산 축산물에 대한 할인 행사를 이어 나갈 계획이다.
아울러 가공식품은 전년보다 4.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식품기업의 원재료 구매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할당관세 품목을 확대('25: 13개→21→27)하고, 식품업계와 긴밀히 협력·소통하면서 식품 물가가 안정되도록 관리해 나갈 계획이다.
외식 부문은 원재료 가격 상승, 인건비, 배달앱 수수료 등 복합적 요인으로 전년동월대비 3.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식품부는 공공배달앱 할인쿠폰 지급 기준 완화 등을 통해 공공배달앱 활성화와 소비자 부담도 줄여 나갈 계획이다.
농식품부는 "김장철을 앞두고 농축산물 물가 안정세가 지속될 수 있도록 생육관리협의체를 통해 작황 관리 및 축산물 수급상황 모니터링 강화를 통해 안정적인 공급 여건을 조성하고, 김장철 농축산물 안정적 공급과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한 선제적 대책을 추진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