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권 약학대학 재학생들을 위한 특별 강연이 지난 27일 조선대학교 대호전기홀(서석홀)에서 이 지역 약학대학 학생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진행됐다.
이번 행사는 조선대학교 약학대학 제38대 파랑 학생회가 주관하고, 광주광역시약사회(회장 김동균)와 전라남도약사회(회장 김성진) 등이 후원했으며 강연에는 이형훈 보건복지부 차관이 연사로 나서 '보건의료 환경 변화와 새 정부의 정책과제'를 주제로 기조강연을 발표했다.
특히 이번 강연은 '약대생이 묻고, 차관이 답하다'라는 부제 아래, 학생들과 직접 소통하며 미래 약사의 역할과 진로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펼쳐져 관심을 끌었다.
이 날 약학대학 학생들은 이형훈 보건복지부 제2차관에게 직접 한약사 제도와 성분명 처방 등 약사 사회의 주요 현안에 대한 질문을 던졌다.
한 약학대 1학년 학생은 한약사 제도가 1993년 도입 당시 한방의약분업을 전제로 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시행되지 못한 이유를 물었다. 이에 이 차관은 당시 여러 반대에 부딪혀 정책이 실행되지 못했으며, 제도가 "정책적 산물"로 탄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문제가 "쉽지 않은 문제"이며 "아직 모두가 만족할 만한 해답은 없다"고 덧붙였다.
다른 학생은 성분명 처방 도입에 대한 의견을 물었다. 이 차관은 성분명 처방 시 환자의 선택권과 책임 문제가 뒤따르며, 무엇보다 그 혜택이 환자에게 돌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의사의 권한을 약사에게 옮기는 것이 아니라, 환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강연에서 이 차관은 보건의료 정책 방향과 함께 약국 현안도 언급했다. 그는 전국에 약 2만 5천여 개의 약국이 운영되어 인구 대비 접근성은 높지만, 지역, 시간, 품목별 접근성은 여전히 낮다고 지적했다. 대도시 중심의 약국 집중 현상과 공공심야약국 부재 문제를 꼬집으며 환자들이 심야나 휴일에 의약품을 구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정부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제한적 성분명 처방 검토, 조제 생동성 인정 품목의 대체조제 절차 간소화, 공공심야약국 설치 등을 추진 중이다. 또한 비대면 진료 및 약 배송 제도화, 안전상비의약품 품목 확대, 무약촌 해소를 위한 등록 기준 완화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차관은 최근 급증하는 창고형 약국 문제도 언급하며 우려를 표했다. 이에 대해 그는 약국이 △통합 복약상담 △방문 약료 △만성질환 및 다제약물 관리 등 국민 맞춤형 서비스로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