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근육 증가 비만 신약' 작용 기전 규명

유럽당뇨병학회서 HM17321 임상 성공 가능성 입증… 시장 판도 바꿀 '게임 체인저' 기대

> 한미약품 R&D센터 연구원들이 15일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차세대 비만치료 삼중작용제 HM15275와 신개념 비만치료제 HM17321, 경구용 비만치료제 HM101460의 주요 연구 내용을 토대로 참석자들에게 설명하고 있다.

한미약품이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열린 제61회 유럽당뇨병학회(EASD 2025)에서 차세대 비만 치료 신약 3종에 대한 비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특히 세계 최초로 근육량 증가와 지방 선택적 감량을 동시에 구현하는 신개념 비만 신약 'HM17321'의 작용 기전을 과학적으로 규명하며, 글로벌 비만 치료 시장의 판도를 바꿀 '게임 체인저'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구연 발표를 통해 공개된 HM17321의 연구 결과는 단순히 근손실을 막는 수준을 넘어, 근육량을 직접 증가시키는 기전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는 평가다. 한미약품 연구진은 동물 모델 연구를 통해 HM17321이 근세포 분열과 분화를 촉진하고, mTOR 경로를 활성화하여 근 성장을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한, 비만 영장류 모델에 HM17321을 투약한 결과, 체지방만 선택적으로 감량하고 제지방량(근육, 뼈 등 지방을 제외한 체중)을 보존하는 효과를 재현했다. 이는 HM17321이 '지방 감량+근육 증가+대사 기능 개선'이라는 양질의 체중 감량 효과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향후 비만 및 근감소 동반 대사질환 치료 분야에서 '계열 내 최초 신약(First-in-Class)'**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을 높였다.

한미약품은 HM17321 외에도 두 가지 유망한 비만 신약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삼중작용제 'HM15275'은 기존 비만 치료제인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와 젭바운드(터제파타이드) 대비 뛰어난 체중 감소 및 혈당 개선 효능을 보이며, '계열 내 최고 신약(Best-in-Class)'으로서의 잠재력을 입증했다.

경구용 비만 치료제 'HM101460'은 초기 연구 단계이지만, 지속적인 약효 발현 가능성을 확인하며 경구용 GLP-1 작용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최인영 R&D센터장(전무)은 "한미의 비만 신약 H.O.P(Hanmi Obesity Pipeline) 프로젝트는 현재 시판된 약물들의 한계를 보완하는 종합적인 솔루션"이라며 "차별화된 파이프라인을 토대로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에서 '비만 치료의 새로운 이정표'를 확립하겠다"고 밝혔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