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MSD "'프레비미스', 200일 장기 투여 효과 입증"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CMV 감염 예방 심포지엄 개최

호주 피터 맥캘럼 암센터 및 로열 멜버른 병원 국립 암 감염 센터의 미셸 용 교수가 12일 열린 ICBMT 2025에서 프레비미스의 200일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하고 있다.

한국MSD가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의 거대세포바이러스(CMV) 감염 예방 약제 '프레비미스'의 200일 장기 투여 효과 및 안전성을 입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 11일부터 13일까지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제9회 대한조혈모세포이식학회 국제학술대회에서 진행된 심포지엄에서, 프레비미스를 200일까지 연장 투여했을 때 CMV 감염 및 질환 발생 가능성 감소는 물론, 사망 위험까지 낮춘다는 리얼월드 및 임상 연구 결과가 공유됐다. 

이번 심포지엄의 연자로 나선 호주 피터 맥캘럼 암센터의 미셸 용 교수는 프레비미스 200일 연장 투여의 효과를 강조했다. 프레비미스를 1차 예방제로 사용한 환자 7104명을 대상으로 한 리얼월드 메타분석 결과, 프레비미스 투여군은 이식 후 100일 및 200일 시점에서 CMV 재활성화, 임상적으로 의미 있는 CMV 감염, CMV 질환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낮았다. 또한 이식 200일 이후에는 전체 사망 위험과 비재발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레비미스 200일 연장 투여의 유효성 및 안전성은 3상 임상 연구를 통해서도 입증됐다. CMV 양성 성인 환자 218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프레비미스 투여군의 CMV 감염 발생률은 3%로 위약군의 19%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약물 독성으로 인한 치료 중단 사례는 없었다.

한국MSD 명혜진 전무는 "지난 6월 프레비미스의 200일 투여 급여 확대 이후 처음 발표된 이번 연구 결과는 국내 임상 현장에서 프레비미스 장기 투여의 임상적 근거를 더욱 확고히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처럼 면역억제 상태에서는 CMV가 빠르게 증식하여 위염, 폐렴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과거에는 CMV 재활성화 후 치료하는 선제요법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프레비미스와 같은 예방요법 중심으로 치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