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글로벌 규제환경 속 K-뷰티 대응방안 모색

연구원 '2025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 개최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원장 조신행)은 오는 24,25일 양일간 로얄호텔 서울 그랜드볼룸에서 '2025년 국제 화장품 안전성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국내외 화장품 규제 동향과 화장품 안전성 평가 및 대체 시험법에 대해 종합적으로 짚어보고 빠르게 변화하는 글로벌 규제 환경 속에서 국내 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올해는 SCCS(유럽 소비자안전과학위원회) 부의장인 베라 로저스(Vera Rogiers) 교수를 포함해 총 12명의 국내외 저명한 전문가들이 대거 참여해 해외 유관기관, 글로벌 기업과의 정보 교류의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베라 로저스 교수는 심포지엄 양일간 두 차례에 걸쳐 ▲잠재적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안전성 평가에 대한 SCCS 사례 ▲비산화염모제의 NGRA 접근법 적용 사례를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어 미국 FDA 전 심사관인 빈 누옌(Bihn Nguyen) 박사는 자외선 차단제 제조업체를 위한 FDA GMP 심사 관련 내용을 다룬다. 이번 강연에서 FDA GMP 심사의 실제 절차와 준비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기업들의 미국 진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실질적인 대응 전략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L'Oréal APAC 안전성 책임자인 테드 싱(Ted Xing) 박사는 올해 5월부터 시행된 중국 화장품 안전성 평가 보고서 전체 버전 제출을 모니터링하며 간략한 분석이 아닌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구체적인 사례를 소개한다는 점에서 주목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심포지엄 첫째 날인 24일은 글로벌 화장품 규제 동향을 주제로 ▲글로벌 화장품 안전성 규제 개요 및 대한민국 안전관리 동향(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이정표 실장) ▲한국 화장품 안전성 평가 현황(한양대학교 배옥남 교수) ▲미국 주법/연방법 규정 가이드라인(리이치24시코리아 손성민 대표) ▲Insight of China cosmetic safety assessment report, industry practice and case sharing(L'Oréal Dr. Ted Xing) ▲Latest EU cosmetics regulatory updates(COSMED Dr. Caroline Bassoni) ▲Overview and strategy of FDA GMP audit for Sunscreen manufacturers(Wynnes Consulting Dr. Bihn Nguyen) ▲ Experience of the SCCS with the safety assessment of compounds with potential endocrine disrupting activity(SCCS Vrije Universiteit Brussel Prof. Vera Rogiers) 순으로 강연이 진행된다.

둘째 날인 25일은 ▲Alternative methods on skin sensitization risk assessment(Estee Lauder Dr. Mihwa Na) ▲Latest ACSB CMR framework and case studies; ASEAN evaluates CMR ingredients(P&G Dr. Willy Chin) ▲국내 식물 추출물의 TTC 적용에 따른 위해성 평가(이화여자대학교 임경민 교수) ▲Case study on using NGRA in cosmetic ingredient evaluation(L'Oréal Dr. Andrea YIP) ▲Cosmetic Ingredients Prediction System (KCII-CSP) to supporting decision-making(Lhasa Limited Dr. Chris Barber) ▲NGRA as an animal-free alternative risk assessment for systemic toxicity: Example of the non-oxidative hair dye HC Yellow Y13(SCCS Vrije Universiteit Brussel Prof. Vera Rogiers) 순으로 글로벌 화장품 안전성 평가와 대체 시험법을 주제로 최신 연구 동향과 사례를 소개될 예정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심포지엄은 급변하는 글로벌 화장품 규제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들과 안전성 평가 최신 동향 및 과학적 전략을 공유하는 귀중한 기회가 될 것"이라며 "국내 화장품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문 지식과 협력 네트워크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심포지엄 신청 기한은 오는 9월 19일 금요일 오후 4시까지며, 참여 희망자는 올코스 화장품산업정보포털에 접속해 신청하면 된다. 문의는 대한화장품산업연구원 안전성연구팀(정다영 선임연구원, 031-8055-7905).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