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디앙, 만성콩팥병 급여 적용으로 치료 접근성 확대

심장-신장-대사질환 통합 관리의 새로운 발판 마련

SGLT2억제제 '자디앙'이 제2형당뇨병, 만성심부전, 만성콩팥병 등 3개 질환 모두에서 급여 확대개됨에 따라 더 많은 만성콩팥병 환자들이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은 2일 콘래드 서울에서 SGLT2억제제 자디앙정 10밀리그램(성분명 엠파글리플로진)의 만성콩팥병 건강보험 급여 적용을 기념하여 자디앙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하는 기자간담회를 개최했다.

자디앙은 보건복지부 고시에 따라 지난 8월 1일부터 성인 만성콩팥병 환자 치료에 건강보험 급여가 적용돼, 2형당뇨병, 만성심부전, 만성콩팥병 3개 적응증 모두에서 환자들이 보험 급여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됐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서울대병원운영 서울특별시보라매병원 신장내과 이정표 교수와 한국베링거인겔하임 의학부 이건일 이사가 연자로 나서 자디앙의 임상적 가치와 심장-신장-대사질환(Cardio-Renal-Metabolic, CRM) 통합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이정표 교수는 "만성콩팥병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보건 문제로, 가장 주요한 원인은 당뇨병"이라며, 이번 급여 확대의 근거가 된 EMPA-KIDNEY 연구를 소개했다. 이 연구는 다양한 만성콩팥병 환자군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자디앙이 위약 대비 콩팥병 진행 또는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을 28% 감소시키는 것을 입증했다. 이 교수는 이번 급여 확대를 통해 만성콩팥병 치료 환경이 개선될 것으로 기대했다.

이건일 이사는 "자디앙은 EMPA-REG OUTCOME 연구를 시작으로 EMPEROR 시리즈 연구, EMPA-KIDNEY 연구를 통해 제2형당뇨병, 만성심부전, 만성콩팥병 등 여러 질환에서 지속적으로 치료 혜택을 확인해왔다"고 설명했다. 또한, 서로 긴밀히 연결된 질환들을 개별적으로 보지 않고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CRM 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자디앙이 이 전략의 핵심 치료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베링거인겔하임 CRM 사업부 박지영 전무는 "이번 급여 확대는 더 많은 환자들이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치료 접근성을 높이고,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