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시대, 안구건조증 환자 급증

스마트기기·환경오염이 주원인… 국내 연구진 신약 개발 성과 주목

김동현 교수

스마트폰과 컴퓨터 모니터 사용이 일상화되면서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노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혔으나, 최근에는 전자기기 과사용, 미세먼지 등 생활습관과 환경적 요인이 새로운 발병 원인으로 자리 잡으면서 환자 연령층도 젊어지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이 지나치게 증발하거나 분비량이 적어 눈물막 균형이 무너질 때 발생한다. 눈물막은 각막을 보호하고 시야를 선명하게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기능이 약해지면 뻑뻑함, 작열감, 이물감, 눈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심하면 각막 손상과 감염, 시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 치료가 필요하다.

일상적인 치료법으로는 인공눈물 사용, 실내습도 관리,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권장된다. 방부제 성분이 없는 일회용 인공눈물이 안전하며, 염증이 동반될 경우 항염증제 치료가 필요하다.

국제 학회 TFOS 연구에서는 미세먼지와 유해 가스 등 대기오염이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주요 요인임이 확인돼, 오염이 심한 날에는 외출을 줄이고 실내습도를 약 60%로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안과 김동현 교수는 "건성안 환자의 80% 이상에서 마이봄샘 기능장애가 관찰된다"며 "40도 정도의 온찜질을 통해 마이봄샘의 기름층 분비 기능을 활성화하는 것이 치료에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스마트폰·컴퓨터 사용 시 자주 휴식을 취하고, 에어컨·히터 바람이 직접 눈에 닿지 않도록 관리하는 습관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신약 개발도 활발히 진행 중이다. 김동현 교수가 연구에 참여한 안구건조증 치료제 후보물질 'RCI001'은 최근 미국 FDA로부터 임상 2상 시험 승인을 획득하며 주목받았다. 김 교수는 이 성과를 바탕으로 유럽 건성안학회에 초청돼 아시아와 유럽의 치료제 패러다임 차이를 발표하고 국내 연구의 위상을 알렸다.

김 교수는 "안구건조증 환자가 증가하는 만큼 새로운 치료 접근이 필요하다"며 "이번 FDA 임상 2상 승인은 국내 연구진이 세계 건성안 치료 분야를 선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성과다다. 앞으로 임상에서 치료 효과를 입증해 환자들에게 새로운 선택지를 제공하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