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눈이 똑바로 정렬되지 않고 서로 다른 방향을 보는 '사시(斜視)'는 단순히 미용적 문제를 넘어 시력과 양안시 기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주로 아동기와 청소년기에 진단과 치료가 이뤄지지만, 성인이 된 후 시력교정술을 고려할 때 사시 병력이 걸림돌이 되지 않을지 고민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사시는 시선이 코 쪽으로 돌아가면 '내사시', 귀 쪽으로 치우치면 '외사시', 위·아래로 벗어나면 '수직사시'로 구분된다. 발생 시기에 따라 소아사시와 성인사시로 나뉘며, 안경 착용이나 가림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수술이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통계에 따르면 2024년 국내 사시 환자의 약 78%가 20세 미만으로, 성장기에 진단되는 비율이 높다.
사시교정술은 안구를 움직이는 외안근을 조절해 두 눈의 정렬을 맞추는 수술이다. 반면 라식·라섹 등 시력교정술은 각막을 깎아 굴절 이상을 교정한다. 목적과 수술 부위가 다르기 때문에 사시 병력이 있다고 해서 시력교정술 자체가 제한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선명한 시력을 유지해야 초점이 잡히는 만큼, 시력교정술이 사시 교정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설명이다.
다만 두 수술의 순서와 시점은 환자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시력교정술만으로 사시가 완전히 교정되지는 않으며, 사시가 심하면 교정술이 선행돼야 한다. 두 수술을 모두 진행한다면 회복 기간을 충분히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시력교정술을 먼저 받은 경우, 최소 3~6개월의 경과를 지켜본 뒤 사시교정술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권장된다.
수술 전 정밀검사는 필수다. 근시가 과교정돼 원시가 유발되면 사시가 발생하거나 복시가 나타날 수 있고, 일부는 추가 치료가 필요하다. 또 다른 안질환으로 인한 사시가 동반됐다면 시력교정술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 수술 중에는 눈을 각각 교정하므로 큰 문제는 없지만, 양안시 발달이 미흡한 경우에는 수술 후 사시가 악화할 가능성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김안과병원 사시&소아안과센터 김대희 전문의는 "사시 병력이 있다고 해서 시력교정술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수술 전 정밀검사를 통해 시기능과 눈의 정렬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사시 정도에 따라 수술 순서나 시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전문의와 충분히 상담해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