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암봉S 자극 견통·엘보 통증 완화

"50~60대 반드시 음양석 기구·개운 역근법·지운구 운동 필수"

서암봉S나 천기석 자극 - 충혈 반응의 우수성

서암봉S나 천기석 자극을 주면 충혈 반응은 거의 일어나지 않으나 천기석 벨트의 반원형 돌기를 피부에 3~5시간 붙이고 있으면 위치에 따라서 차이가 있다(복부를 제외한 곳에서 나타날 수 있다).
천기석 돌기를 붙인 곳으로 혈액이 집중적으로 모여들어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을 크게 개선하는 방법이다.
인체에 통증이 있을 때 건부항요법은 피부를 일부러 충혈시켜서 정혈한다고 하고 있다. 천기석 큰 돌기를 붙이는 것만으로도 충혈 반응이 있었다.
모든 통증은 혈액순환 장애에서 발생한다. 혈액순환을 촉진·개선시키기 위해서 많은 방법으로 자극을 주고 있다. 혈액순환이 개선·촉진되면 모든 통증은 반드시 해소될 수 있다.
천기석 돌기 자극은 이처럼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각종 통증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

견통의 서암봉S 자극 필요성

7월 22일까지는 목목불급으로 담승·간허이고, 7월 23일부터 8월 13일까지는 목화불급, 8월 중순부터 9월 22일(추분)까지는 화화불급으로 소장승이 된다.
담승이 되면 대개 관절통, 특히 견관절통이 많이 발생하고  소장승이 되면 엘보 통증, 견갑통, 류머티즘이 많이 악화되거나 발생하기 쉽다.
이번 7~8월에 견통, 견관절통, 견갑통이 많이 발생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요점 치방을 소개한다.

견통의 예방법 - 서금요법인 음양석 기구·개운 역근법·지운구 운동과 발매트 운동이 꼭 필요

견통은 한 번 발생하면 잘 낫지 않는다. 특히 50~60대가 되면 견통이 많아 오십견, 육십견이라는 말들을 한다.
노쇠 과정에서 허리, 가슴, 목의 자세가 삐뚤어지므로 어깨 부위에 혈액순환이 안돼 발생하기 쉽고 지나친 운동, 과로, 스트레스 등으로 발생한다. 또는 잠을 잘 때 한쪽으로 치우쳐 잘 때도 발생할 수가 있다.
50~60대가 간혹 견통을 느낀다면 반드시 음양석 기구, 개운 역근법, 지운구 운동을 필수적으로 해야 예방이 된다. 설사 견통이 있어도 이러한 운동을 매일 계속해야 속히 낫는다. 가만히 있으면 잘 낫지 않는다.

견통 종류의 치방(어깨 꼭대기 통증)

어깨 꼭대기의 근육 통증이 많다. 스트레스나 과로, 긴장하면 많이 나타나고 최근에는 컴퓨터, 핸드폰 등을 많이 사용하여 나타난다. 음양석 기구 운동을 자주 실시한다. <그림>
좌측이 아프면 좌수좌측, 우측이 아프면 우측에 서암봉S를 붙인다.
만약에 어깨 통증이 극심하면 통증 위치에 직접 서암봉S를 붙인다. 이때는 반드시 경추 압통점을 찾아서 함께 자극한다. 경추 이상이 있으면 팔로 내려오는 신경을 압박해서 발생한다.
견통은 대개가 간·담 질환에서 발생한다. 견통이 자주 발생하거나 재발되고 잘 낫지 않으면 N17·18에 서암봉S를 붙인다.
<끝>


보건신문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