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DF보기
  • 즐겨찾기추가
  • 홈
  • 기사제보
  • 로그인
  • 회원가입

최종편집

보건산업 대표 종합전문지-보건신문 www.bokuennews.com

  • 배너
  • 종합
    • 전체기사
    • 보건정책
    • 기획
    • 병·의원
    • 학회·학술
    • 의료기기
    • 제약
    • 도매·유통
    • 약사·약국
    • 식품·건기식
    • 뷰티
    • 글로벌뉴스
  • 메디뉴스
    • 특별기획
    • 병·의원
    • 학회·학술
    • 의료기기
    • 글로벌뉴스
  • 팜뉴스
    • 특별기획
    • 제약
    • 도매·유통
    • 약사·약국
    • 글로벌뉴스
  • 푸드뉴스
    • 특별기획
    • 식품·건기식
    • 글로벌뉴스
  • 뷰티뉴스
  • 오피니언
    • 데스크칼럼
    • 보건포럼
    • 기자수첩
  • 포토
  • 서금요법·수지침
  • 종합

    • 전체기사
    • 보건정책
    • 기획
    • 병·의원
    • 학회·학술
    • 의료기기
    • 제약
    • 도매·유통
    • 약사·약국
    • 식품·건기식
    • 뷰티
    • 글로벌뉴스
  • 메디뉴스

    • 특별기획
    • 병·의원
    • 학회·학술
    • 의료기기
    • 글로벌뉴스
  • 팜뉴스

    • 특별기획
    • 제약
    • 도매·유통
    • 약사·약국
    • 글로벌뉴스
  • 푸드뉴스

    • 특별기획
    • 식품·건기식
    • 글로벌뉴스
  • 뷰티뉴스

  • 오피니언

    • 데스크칼럼
    • 보건포럼
    • 기자수첩
  • 포토

  • 서금요법·수지침

Home > 기사모음 > 신간
  • 1% 호기심, 꿈을 쏘는 힘

    서울대의대 김성완 박사

    1% 호기심, 꿈을 쏘는 힘

    항공우주공학을 꿈꾸는 과학도는 물론 전 세계의 엘리트들이 선망하는 연구소, 미국항공우주국 NASA에서 차세대 우주왕복선의 책임연구원으로 일하던 김성완 박사. 그런 그가 어느 날 모교인 서울대의 부름을 받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로 부임했다.미국이 붙잡는 항공우주공학자에서 서울대 의대 교수로 돌아와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이끄는 그의 특이한 이력에는 공통된 키워드가 있다. ‘호기심’ 그리고 바로 ‘1%’다. ‘1% 호기심, 꿈을 쏘는 힘’(저자 김성완)은 저자가 ‘호기심’을 통해 자기만의 꿈을 붙잡고, 포기하지 않고 그 과정을 이루어 가는 ‘1%’의 노하우를 이 시대의 젊은이들에게 전하는 이야기이다.어릴 적 암스트롱의 달 착륙 장면을 생중계로 보고 꿈을 키운 ‘NASA 키즈’, 600만 불의 사나이를 보고 인간과 기계와의 결합을 상상했던 ‘로봇 키즈’ 저자는 자신의 꿈을 향해 서울대학교와 대학원을 마치고 뒤늦은 유학길에 나섰다. 이 후 세계 10위 방위산업체 LAC 책임연구원을 거쳐 대표적 항공우주기업 보잉에서 차세대 우주왕복선 초기 개발의 책임연구원로 일했고 오랜 꿈대로 NASA에 들어가 차세대 우주왕복선 연구 및 유인 달·화성 탐사선 을 연구하는 우주시대를 열어 갈 손꼽히는 미래 항공우주전문가가 되었다.그런 그가 NASA에서 활약을 접고 대한민국 의공학에 ‘날개’를 달고자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로 변신했다. 현재 그는 NASA에서 연구한 항공우주학을 토대로 인체 속을 탐험하는 내시경 카메라, 눈으로 볼 수 없는 미세수술을 하는 로봇 팔, 심장과 폐를 연결하는 인공장기, 한국인에게 맞는 인공 췌장 적응 연구, 암의 조기 진단 등 의학과 항공우주공학을 융합한 의공학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어선 더 멋진 미래, 더 건강한 인류를 위해 전진 중이다.저자는 자신의 삶을 지배한 ‘호기심’ 과 ‘1%’, 2가지 가치를 솔직하게 행동으로 옮겼고, 그 결과 세계에서 손꼽히는 미래 항공우주전문가가 되었다. 그러한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로 돌아와 과학과 의학의 융합을 이끄는 것. 오늘날 꿈을 잃어가는 청춘에게 찾아보기 힘든 이 도전과 열정은 우리가 저자로부터 배워야 할 최고의 가치다.

    2013/05/15
  • 맛있는 돼지고기의 100가지 이야기 '올댓포크'

    맛있는 돼지고기의 100가지 이야기 '올댓포크'

    요리책으로는 이례적으로 100만부 판매와, 그해(2005년) 히트상품으로 지정되기도 했던, ‘원시리즈’를 출간한 영진닷컴에서 새로운 요리책 시리즈를 출간했다. 바로 한 가지 재료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요리를 담은 올 댓 All that 시리즈다.3월 출간된 'All that FISH'는 생선을, 이어 두 번째로 출간된 'All that PORK'는 돼지고기 및 돼지고기 가공품을 주재료로 한 100가지 요리법이 실려 있다. 돼지고기는 기름지다 혹은 건강에 해롭다는 편견을 불식시켜주는 것은 물론 돼지고기의 여러 부위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100가지의 돼지고기 요리법을 담았다. 또한 'All that PORK'는 국내1위 브랜드돈육인 선진포크를 만드는 ㈜선진과 협업을 통해, 도서 집필 시부터 출간 후 프로모션까지 함께했다. 선진에서 보유한 돼지고기에 대한 알찬 정보와 생생한 사진들이 실려 있다.

    2013/05/06
  • 한국유방암학회, ‘유방암 이기는 참 좋은 음식’ 발간

    한국유방암학회, ‘유방암 이기는 참 좋은 음식’ 발간

    한국유방암학회는 유방암 환자는 물론 건강에 관심 있는 독자를 위한 유방암 예방과 치료에 좋은 음식 가이드북 ‘유방암을 이기는 참 좋은 음식’을 발간했다.학회 소속 유방암 전문의 12명이 집필과 감수에 직접 참여했으며, 유방암을 예방하고 이겨낼 수 있는 음식에 대한 모든 것을 담고 있다.책은 유방암 치료 과정에서 생기는 부작용을 극복하고 건강한 영양을 섭취할 수 있는 식사 원칙과 유방암 환자의 식사와 관련된 속설에 대해 속 시원히 풀어준다. 올바른 식이요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계절별 건강요리 레시피 70선을 제공해 건강한 식습관의 실천도 돕는다. 박찬흔 이사장은 “유방암 환자의 식이요법 관련된 잘못된 인식을 바로 잡고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이 책을 기획하게 됐다”며 “전문 의료진이 권하는 좋은 음식이야기가 유방암 치료와 예방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2013/04/18
  • '암, 꼭 알아야 할 치료·영양 가이드'

    분당서울대병원 암센터 오픈 기념, 암 환자와 가족을 위한 암 치료 지침서 출판

    '암, 꼭 알아야 할 치료·영양 가이드'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암 환자와 가족들을 위한 암 치료 지침서 '암, 꼭 알아야 할 치료·영양 가이드'를 펴냈다. 이 책은 분당서울병원이 새롭게 암센터를 오픈하면서 암 환자와 가족에게 직접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종합 지침서를 만드는 것을 목적으로 기획됐다. 암치료 전문교수, 간호사, 영양사, 사회복지사 등 각 분야 전문가들의 철저한 검증과 노력으로 완성된 '암, 꼭 알아야 할 치료・영양 가이드'는 암 환자를 위한 건강 길라잡이로서 포괄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책이다. 분당서울대병원의 전문 의료진이 암 치료와 증상 관리, 생활 관리 부문을 맡아 암 환자에게 꼭 필요한 의학 정보와 암 투병 시의 건강 관리법을 정리했다. 그리고 병원 영양실의 숙련된 임상 영양사가 암 투병 시 수반되어야 할 영양 지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사례에 기반을 둔 식사 레시피를 소개한다. 맛과 영양은 물론, 암 환자의 식이 장애를 고려한 최선의 식사를 마련하기 위한 추천 요리들로 구성됐다.첫 번째 파트, 암 치료 시 반드시 알아야 할 치료 가이드에서는 암 환자들이 앞으로 맞닥뜨리게 되거나 현재 진행을 하고 있는 암 치료에 관한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의학 정보를 소개한다. 항암화학요법, 방사선 치료, 수술 등 각종 암 치료법에 대한 원리와 효과를 알기 쉽게 풀고, 암 치료에 동반될 수 있는 부작용을 미리 알고 적절히 대처할 수 있도록 했다. 다소 소홀할 수 있는 암 환자의 피부 관리법도 소개했다. 암 수술 직후의 상처 관리법부터 방사선 치료 등으로 쉽게 손상되고 약해지는 피부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가이드 했다. 암의 재발과 이차암 예방을 위한 생활 관리법도 조언한다.두 번째 파트, 암을 극복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생활 가이드에서는 암 환자와 가족들이 겪을 수 문제를 짚어보고 극복하는데 도움이 되는 전문가의 조언을 제시한다. 암 극복을 위한 의사소통, 스트레스와 정신적 고통 관리, 암치료를 돕는 운동법, 암환자의 성생활, 사회복지 정보를 담았다.세 번째 파트, 암 환자에게 꼭 필요한 영양 가이드에서는 암 환자를 위한 영양지침과 치료 부작용을 완화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섭취 요령을 알려준다. 입맛의 변화가 있을 때, 구강 건조나 입안 통증이 있을 때, 메스꺼움과 구토증상이 있을 때, 변비가 있을 때, 삼킴 장애가 있을 때 등 암 환자가 겪을 수 있는 상황에 맞는 요령을 제시했다.정진엽 원장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의 전문 의료진으로 구성된 집필진이 암 환자에게 꼭 필요한 의학 정보를 망라했다.”며 “분야별 전문가들의 철저한 검증으로 완성된 이 책이 암환자와 가족이 암을 극복하고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리라 믿는다”고 밝혔다.

    2013/04/15
  • [신간]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

    서울대의대 은희철 교수, 어려운 의학전문용어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꿔 의사 환자간 원활한 소통 기대

    [신간]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공동 연구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지침서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 은희철 교수는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정인혁 교수와 이화여대 인문학부(언어학) 송영빈 교수와 공동으로 집필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커뮤니케이션북스)'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의사가 고유의 의학용어만을 고집한다면 환자와의 소통은 어려워진다. 저자들은 소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현실과 어법에 맞게 변화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쉬워야 함을 강조한다. 쉬운 의학용어는 결국 '진료의 질을 높이는 기본전제'가 된다는 신념이 이들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의기 투합해 오랜 기간 연구하고 책을 펴내게 된 계기가 됐다. 지금까지의 의학용어 순화가 이미 만들어진 용어를 국어 어법에 맞게 바로 잡고 표준화하는 데 그쳤다면, 이 책에서는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전문용어들을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인 제안을 담고 있다. 책에서는 우리말 전문용어에 대한 막연한 당위론에서 벗어나, 언어 현실에서 전문용어의 역할과 관련된 실제적인 고민들을 보여준다. 이들은 현재 쓰이고 있는 용어 중 통일이 필요한 의학용어에 대해 새로운 대안도 제시한다. 현재 영어 'disease'는 병, 질병, 질환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말 큰사전』 7판에서는 질병, 질환은 병과 완전히 같은 의미로 규정해, 이들을 모두 '병'으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또 상처(wound)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도 현재 순화되지 않고 쓰이고 있음을 지적하며, 할창(cleaver wound)은 '찍힌상처'로, 절창(cutting wound)은 '베인상처', 사창(firearms wound)은 '총상', 관통창(penetrating wound)은 '관통상처'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바꾸기를 권한다. 저자인 은희철 교수는 대한의사협회 용어심의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며 20여 년간 다수의 의학용어집 발간에 참여했다. 그는 "순화된 새 전문용어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적극적인 관심과 활용이 필요하다"며 “의사들이 진료 현장과 학술 활동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새 용어의 정착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2013/04/02
  • [신간]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

    서울대의대 은희철 교수, 어려운 의학전문용어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꿔 의사 환자간 원활한 소통 기대

    [신간]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공동 연구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지침서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 은희철 교수는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정인혁 교수와 이화여대 인문학부(언어학) 송영빈 교수와 공동으로 집필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커뮤니케이션북스)'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의사가 고유의 의학용어만을 고집한다면 환자와의 소통은 어려워진다. 저자들은 소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현실과 어법에 맞게 변화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쉬워야 함을 강조한다. 쉬운 의학용어는 결국 '진료의 질을 높이는 기본전제'가 된다는 신념이 이들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의기 투합해 오랜 기간 연구하고 책을 펴내게 된 계기가 됐다. 지금까지의 의학용어 순화가 이미 만들어진 용어를 국어 어법에 맞게 바로 잡고 표준화하는 데 그쳤다면, 이 책에서는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전문용어들을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인 제안을 담고 있다. 책에서는 우리말 전문용어에 대한 막연한 당위론에서 벗어나, 언어 현실에서 전문용어의 역할과 관련된 실제적인 고민들을 보여준다. 이들은 현재 쓰이고 있는 용어 중 통일이 필요한 의학용어에 대해 새로운 대안도 제시한다. 현재 영어 'disease'는 병, 질병, 질환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말 큰사전』 7판에서는 질병, 질환은 병과 완전히 같은 의미로 규정해, 이들을 모두 '병'으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또 상처(wound)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도 현재 순화되지 않고 쓰이고 있음을 지적하며, 할창(cleaver wound)은 '찍힌상처'로, 절창(cutting wound)은 '베인상처', 사창(firearms wound)은 '총상', 관통창(penetrating wound)은 '관통상처'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바꾸기를 권한다. 저자인 은희철 교수는 대한의사협회 용어심의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며 20여 년간 다수의 의학용어집 발간에 참여했다. 그는 "순화된 새 전문용어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적극적인 관심과 활용이 필요하다"며 “의사들이 진료 현장과 학술 활동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새 용어의 정착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2013/04/02
  • [신간]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

    서울대의대 은희철 교수, 어려운 의학전문용어 아름다운 우리말로 바꿔 의사 환자간 원활한 소통 기대

    [신간]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공동 연구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지침서가 나왔다.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피부과 은희철 교수는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정인혁 교수와 이화여대 인문학부(언어학) 송영빈 교수와 공동으로 집필한 '아름다운 우리말 의학 전문용어 만들기(커뮤니케이션북스)'를 발간했다고 1일 밝혔다. 의사가 고유의 의학용어만을 고집한다면 환자와의 소통은 어려워진다. 저자들은 소수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함께 사용할 수 있도록 현실과 어법에 맞게 변화해야 하며, 무엇보다도 쉬워야 함을 강조한다. 쉬운 의학용어는 결국 '진료의 질을 높이는 기본전제'가 된다는 신념이 이들 의학자와 언어학자가 의기 투합해 오랜 기간 연구하고 책을 펴내게 된 계기가 됐다. 지금까지의 의학용어 순화가 이미 만들어진 용어를 국어 어법에 맞게 바로 잡고 표준화하는 데 그쳤다면, 이 책에서는 끊임없이 쏟아져 나오는 새로운 전문용어들을 어떻게 만들어 나갈 것인가에 대한 실천적인 제안을 담고 있다. 책에서는 우리말 전문용어에 대한 막연한 당위론에서 벗어나, 언어 현실에서 전문용어의 역할과 관련된 실제적인 고민들을 보여준다. 이들은 현재 쓰이고 있는 용어 중 통일이 필요한 의학용어에 대해 새로운 대안도 제시한다. 현재 영어 'disease'는 병, 질병, 질환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우리말 큰사전』 7판에서는 질병, 질환은 병과 완전히 같은 의미로 규정해, 이들을 모두 '병'으로 통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한다. 또 상처(wound)와 관련된 다양한 용어도 현재 순화되지 않고 쓰이고 있음을 지적하며, 할창(cleaver wound)은 '찍힌상처'로, 절창(cutting wound)은 '베인상처', 사창(firearms wound)은 '총상', 관통창(penetrating wound)은 '관통상처'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바꾸기를 권한다. 저자인 은희철 교수는 대한의사협회 용어심의위원회 위원을 역임하며 20여 년간 다수의 의학용어집 발간에 참여했다. 그는 "순화된 새 전문용어가 정착되기 위해서는 전문가의 적극적인 관심과 활용이 필요하다"며 “의사들이 진료 현장과 학술 활동에서 이를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새 용어의 정착을 앞당길 수 있다"고 말했다.

    2013/04/02
  • 실무해설119 보건의료행정론

    경희의료원 정용엽 박사

    실무해설119 보건의료행정론

    병원이용과 병원경영에 필요한 보건의료법제도를 알아보기 쉽게 설명한 책이 나왔다. 세계최초의 양한방협진병원으로 유명한 경희의료원에서 병원행정가로 일해 온 정용엽 박사(QI&CS팀장)가 집필한 ‘실무해설 119 보건의료행정론’은 복잡한 보건의료정책과 법제도를 알기 쉽게 풀어 설명한 책으로 병원이용, 병원경영에 필요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이 책은 저자, 정용엽 박사가 3년 6개월간 발표한 119개의 보건의료칼럼을 수정․보완해서 묶었으며 6개장과 부록으로 구성돼 있다. 각 장의 내용은 제1장.국가 보건의료정책, 제2장.의료인과 의료행위, 제3장.의료분쟁과 의료소송, 제4장.특수한 의료책임, 제5장.환자개인정보와 유헬스케어, 제6장.의료관광(글로벌 헬스케어), 부록.보건의료관련 주요법령 및 국제조약 등이다. 주요내용은 보건의료법체계, 의료광고제도, 연구중심병원제도, 건강관리서비스제도, 진료기록부 열람제도, 진단서의 법적 성격, 병원의 SNS 활용기준, 의료분쟁조정제도, 무과실의료사고보상제도, 뇌사와 장기이식 법제도, 대체의학의 법률문제, 환자개인정보 보호문제, 원격의료와 유헬스케어(u-Healthcare), 의료관광 법제도 등 병원경영이나 병원이용에 참고할만한 자료들이 포함돼 있다. 마지막으로 부록편에는 보건의료관련 주요법령 332개 및 국제조약 24개 목록을 가나다순으로 소개하고 있어 유용하게 찾아볼 수 있다.정용엽 박사는 “보건의료관련 법령이 330여 개로 방대하고 법조항 자체가 난해한 것이어서 이해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에 착안해서 “국민의 의료생활이나 병원종사자의 병원실무에서 참고할 수 있도록 보건의료법제도를 해설한 책이 있다면 병원이용자나 병원종사자 모두에게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에서 이 책을 엮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경희의료원에서 QI&CS팀장을 맡고 있는 정용엽 박사(보건의료법,사이버법 전공, dongha62@naver.com)는 의료경영실무와 이론을 연결해주는 사회봉사 차원에서 경희대법학연구소 객원연구원, 서울사이버대 보건행정학과 강사, 보건복지부 의료-IT융합기반구축위원회 실무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제 목: 실무해설119 보건의료행정론-저 자: 정용엽-펴낸곳: 이담북스-페이지: 294쪽-e-BOOK 별도

    2013/04/01
  • 조울병 치유로 가는 길

    한림대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덕인 교수

    조울병 치유로 가는 길

    한림대학교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덕인 교수가 번역서 를 출간했다. 이 책은 미국 UCLA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David J. Miklowitz 교수가 저술하고, 전덕인 교수를 비롯하여, 여의도성모병원 박원명, 서울백병원 김원, 여의도성모병원 송후림 교수가 공동 번역했다. 양극성장애 치료의 전문가로 알려진 저자가 일선에서 터득한 노하우들을 바탕으로 조울병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법과 가정이나 직장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생활할 수 있는 대처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책은 1부 '양극성 장애의 경험과 진단', 2부 '치료를 효과적으로 받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 지식', 3부 '안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실제적 전략'순으로 구성하고 있다. 전덕인 교수는 “조울병 환자는 스트레스에 취약하기 때문에 평소 규칙적인 생활과 충분한 수면 그리고 가족의 관심과 태도가 중요하다”며 “이 책은 양극적 장애가 어떤 질환인지부터 어떻게 치료하고 가족들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하지는 알기 쉽게 설명하여 환자뿐만 아니라 보호자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2013/03/29
  • ‘심장 혈관 영상의학’ 제2판 출간

    길병원 영상의학과 박재형 교수

    ‘심장 혈관 영상의학’ 제2판 출간

    가천대 길병원 영상의학과 박재형 교수가 심장혈관의 영상의학적 진단의 기초와 발전을 담은 신간 ‘제2판 심장․혈관영상의학’을 펴냈다.20세기 들어 심장과 혈관에 대한 영상의학적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관상동맥협착의 진단이나 심근경색의 범위도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게 됐다. CT, 심장 MRI 등의 기술적인 발전에 힘입어 점차 필요성과 수요가 늘고 있으나 참고할 만한 국내 교과서가 많지 않았다. 이에 박 교수를 중심으로 관련분야 전문가 36명이 함께 제2판 심장․혈관영상의학을 발간했다. 이번에 새로 발간된 제2판은 2008년 발간된 제1판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고 그간의 발전 사항을 반영했다. 제2판 심장·혈관영상의학은 CT, MRI, 심초음파, 동위원소 검사 등, 모든 심장혈관의 영상의학적 진단의 기초를 다룰 뿐 아니라 이중에너지 CT 혈관조영술, 3T 고자장 MR영상을 비롯한 심장 혈관 영상의 최신발전을 함께 다루었다. (일조각. 606쪽. 120,000원)

    2013/03/28
  • 에필리아가 들려주는 뇌전증 이야기

    이상건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

    에필리아가 들려주는 뇌전증 이야기

    뇌전증은 사람의 뇌에 정상적으로 흐르고 있는 전기현상에 일시적인 교란이 일어나는 질환으로 치료가 힘들고 사회생활에 제약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약물치료, 수술치료로 대부분 증상을 조절하고 치료가 가능한 병이다. 최근 출간된 ‘에필리아가 들려주는 뇌전증 이야기’은 뇌전증에 대한 충실한 정보를 제공하고, 뇌전증이 갖는 사회적인 영향을 분석하여 뇌전증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벗기고 뇌전증 환우의 치료에도 도움을 주는 책이다. 이 책은 의학적 전문지식이 없는 독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문용어들을 풀어 설명했으며, 만화 그림을 다양하게 추가하여 친근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1부에서는 뇌전증 바로 알기, 2부 소아청소년 뇌전증, 3부 뇌전증에 수반된 사회적 문제들, 4부 에필리아 소개 등 4부로 나눠 학술적, 법률적 범위를 넘어 환우들과 가족 그리고 모든 사람들에게 뇌전증을 구체적이고 친근하게 소개하고 있다. 책의 집필진(대표 이상건 서울대학교병원 신경과 교수)인 ‘에필리아’는 뇌전증을 전문으로 진료하는 국내 신경과 소아청소년과 교수들이 주축이 되어 운영하는 인터넷 뇌전증 포털 사이트이다. 2003년 첫 오픈 이후 뇌전증과 관련된 최신의학 강좌 및 치료방법 소개는 물론 뇌전증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이상건 교수는 “뇌전증이 난치병이라는 사회적 편견은 환자들의 정상적인 생활을 방해할 뿐 아니라 올바른 치료를 받는 데에도 큰 걸림돌이 된다” 며 “아무쪼록 이 책이 이러한 사회의 그릇된 인식을 바로잡고 환우 여러분 모두가 올바르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데 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고 말했다.* 뇌전증이란, 뇌에서 생기는 질환으로 뇌 신경세포가 일시적 이상을 일으켜 과도한 흥분 상태를 나타냄으로써 의식의 소실이나 발작, 행동의 변화 등 뇌기능의 일시적 마비의 증상을 나타내는 상태를 말한다. 고대 사람들이 보기에는 갑자기 정신을 잃고 쓰러져 몸을 떠는 증상이 가장 인상적인 뇌전증 발작이었으므로, 이 증상 및 질환을 동아시아에서는 간질이라고 불렀다. 현대에 들어와서 이 질환의 원인 및 발생 과정이 밝혀지고, 치료가 쉬워졌다. 이에 2010년 대한뇌전증학회에서는 이 질환의 의학적 명칭을 뇌의 전기적인 이상이라는 의미의 뇌전증으로 바꾸기를 제안하였고, 이 명칭이 점차 상용화 되고 있다.국내에는 2009년에 1000명당 4명, 약 12만 명의 뇌전증 환자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뇌전증은 완치가 되거나, 저절로 없어지기도 하므로 평생 뇌전증을 경험하는 경우는 더 많아 4~10명/1000명, 평생 경련이 한 번이라도 있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1~3명/100명으로 그리 드문 일은 아니다.

    2013/03/27
  • ‘천연물 연구개발관련 규정집’ 발간

    한국천연물의약품연구회

    ‘천연물 연구개발관련 규정집’ 발간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이사장 김동연) 산하 한국천연물의약품연구회(회장 이형규)는‘2013년도 천연물 연구개발 관련 규정집(국내편)’을 국내 처음으로 발간했다고 21일 밝혔다.이번에 발간된 규정집은 총 500쪽으로 돼 있으며, 주요 수록내용은 크게 두 파트로 나뉜다. 우선 천연물신약연구개발촉진법 등 관련 규정-관련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등 관련 규정 총 20개가 수록돼 있다. 또 생약(한약)제제, 천연물의약품 등 관련 가이드라인, 참고사항- 관련 규정 및 기준 등 안내서 총 9개가 수록돼 있다.이원희 연구회 출판분 과장은 “천연물신약 개발과 기능성식품 개발과정에서 참고해야 할 기본적인 관련 국내 규정 및 가이드라인을 집대성해 연구 개발자에게 참고서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각별히 신경 쓴 국내 최초의 자료”라고 강조했다.

    2013/03/26
  •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가이드북’ 번역서

    국내 유일 한국어판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가이드북

    ‘임상연구 코디네이터 가이드북’ 번역서

    임상시험의 시작부터 끝까지 임상연구 코디네이터가 꼭 알아야하는 모든 내용이 담긴 책이 한국어로 번역 출간됐다.Karen E. Woodin의 The CRC's Guide to Coordinating Clinical Research를 번역한 ‘임상연구코디네이터 가이드북(세종의학, 45,000원)은 임상연구코디네이터의 기본 역할, 임상시험과 관련된 규정은 물론 임상시험 실행 시 임상연구코디네이터가 해야 할 업무들에 대해 각 항목별로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흥만 고려대 구로병원 의료기기임상시험센터장(고려대 구로병원 이비인후과 교수), 안형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통계학과 교수, 김경순 (주)서울CRO 이사, 최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대학원 교수가 역자로 참여했다.이흥만 센터장은 “그동안 국내에는 임상연구코디네이터들이 참고할 만한 전문서적이 없었다”며 “본 번역서는 임상시험과 관련된 기본 내용부터 임상시험 진행 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에 대해 상세하게 다루고 있으며, 특히 실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양식들을 포함하고 있어 초보 임상연구코디네이터들에게 좋은 참고서가 되리라 생각 된다”고 말했다.

    2013/03/22
  • 신장이식 진료지침서

    신장이식 진료지침서

    가톨릭의대 내과학교실 신장내과(학과장 양철우 교수)는 신장이식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최신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의를 위한 신장이식 지침서’를 발간했다.책자는 가톨릭의대와 8개 대학병원의 신장내과 교수진과 다양한 이식 관련 전문가 34명이 6개월에 걸쳐 집필했으며, 일선에서 직접 환자를 진료하고, 상담하는 의사 및 코디네이터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자 이론은 과감하게 줄이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임상 프로토콜과 임상연구 결과를 실었다.특히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공여자 특이항체의 진단 방법, ▲혈액형불일치이식, ▲감작된 환자에서의 이식, ▲만성항체매개성거부반응의 치료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하였고, 이식 환자들의 일상생활, 식이요법 및 약물 복용에 이르기 까지 세세한 분야들을 정리했다. 차봉연 내과학교실 주임교수(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는 “늘어가는 신장이식 건 수와 의학의 발전에 따라 신장이식 환자의 진료를 위해 많은 양의 정보를 빠른시간 내에 체계적으로 공부해야 하는데, 본 책자의 발간은 이러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밝혔다. 양철우 신장학과장(서울성모병원 신장내과)은 “외국서적을 통해 배워오던 이식관련 지식을 우리 한글로 만들었다는 점에서 이번 지침서 발간의 의의를 부여하고 싶다”고 밝히고 ”앞으로 이식과 관련해 신지식들이 알려질 때마다 잊지 않고 잘 정리해서 차기 개정 시 더욱 좋은 지침서를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각오를 보였다.

    2013/03/15
  • Khan's 방사선치료물리학

    핵심 개념 및 설명과 함께 문제풀이도 제공

    Khan's 방사선치료물리학

    기초 물리학 이론부터 최신 방사선 치료법에 이르기까지 임상적 방사선치료물리학을 한 권에 총망라한 책이 나왔다. 「Khan's 방사선치료물리학」은 미국 미네소타대학교(University of Minnesota) 방사선종양학과 Faiz M Khan 명예교수의 강의 핵심 내용을 요약, 정리한 책으로, 경희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신동오 박사와 강동경희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김동욱 박사가 대표역자로 출간에 참여했다. 책은 의학물리사를 목표로 공부하고 있는 의학물리전공 대학원생뿐만 아니라 방사선종양학자와 선량설계사, 치료방사선사 등 방사선치료팀원이 반드시 알아야 할 핵심 내용을 모두 제공한다. 또한, 방사선치료물리학의 기본 개념 및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각 장마다 문제풀이와 해설을 제공함으로써, 핵심주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임상 적용을 용이하게 한다. 대표역자인 신동오 박사는 “책의 완성도를 높이고 완벽한 이해를 위해 원서에는 없는 문제풀이 해설을 보충했다”고 전했다. [도서정보] Khan's 방사선치료물리학 (Handbook of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 옮긴이 : 경희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신동오 박사 외 10명 ․ 지은이 : Faiz M Khan ․ 발행일 : 2013.01.01․ 페이지 : 406쪽 ․ 가격 : 45,000원

    2013/03/15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 처음
  • 이전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다음
  • 마지막
배너

화제의 인물

  • 세계 최고급 유제품으로 시장 위기 돌파

    세계 최고급 유제품으로 시장 위기…

  • "지속가능한 식품강국으로 도약"

    "지속가능한 식품강국으로 도약"

  • "PEMF, 홈헬스케어 핵심 기술로 자리 잡을 것"

    "PEMF, 홈헬스케어 핵심 기술로…

개원가 탐방

숙련된 의료기술 유방·갑상선질환 특화

숙련된 의료기술 유방·갑상…

  • 차앤박피부과, 20년 이어온 '…
  • "국시원장 삶과 의사의 삶, 너…

  • 오르가슴의 차이

  • 올바른 사정습관

  • 과식과 성기능

  • 전립선결석의 치료

지역

  • 건보공단 대경본부, 대구 5개 의약단체와 불법개설기관 근절…

    국민건강보험공단 대구경북지역본부(본부장 박철용)와 대구광역시5개 의약단체(의사회…

  • 대구시약사회, 동아대병원 소유 건물 내 약국 개설 강력규탄

  • 대구시약사회, 상반기 자체 감사 수검·기형적 약국 개설 시도…

  • 수해 지역 '피부염·감염성 질환' 예방법

로고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구인안내
  • 구독안내
  • 개인정보취급방침
  • 저작권규약

(주)보건신문사 <04312>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58 아람B/D | 대표전화: 02-718-7321~4 | 구독·광고: 02-714-1656~7 | 팩스: 02-715-5709 | ISSN 2635-9154
등록번호: 서울 아 00064 | 등록일자: 2005년 9월 15일 | 발행일자: 2005년 11월 1일 | 발행인·편집인: 유태우
청소년보호 책임자: 김혜란 | E-mail: khrup77@bokuennews.com
Copyright ⓒ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
보건뉴스의 모든 콘텐츠(기사)를 무단 사용하는 것은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powered by am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