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의사회 "졸속 관리급여 정책 즉각 철회하라"

"일방적 가격 책정으로 진료 포기… 의료 공백·불신 확대"

의료계가 정부의 졸속적인 관리급여 정책을 비판하며 정책 철회를 강력하게 촉구하고 나섰다. 이는 실손보험 구조 개혁없이 의료기관과 환자에게 일방적인 책임만을 전가하는 비윤리적이고 위험한 정책이라는 이유에서다.

서울특별시의사회(회장 황규석)는 26일 "정당성 상실한 정권의 졸속 '관리급여' 정책을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최근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발표한 제2차 의료개혁 실행방안 중 관리급여 추진 관련 보고 안건이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건정심)에 상정됐다. 일부 비급여 항목을 급여권으로 편입하고, 95% 본인부담률을 적용해 관리하는 내용이 관리급여 정책의 핵심이다.

이에 대해 서울시의사회는 "관리급여는 명백히 비급여 시장의 자율성을 침해하고, 의료기관의 진료 자율권을 박탈하며, 환자의 치료 선택권을 제한하는 위험한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서울시의사회에 따르면 자의적인 '비급여 관리 정책협의체'에서의 항목 선정을 거쳐 '선별급여 평가위원회(적평위)'라는 부적절한 거버넌스를 통해 급여 전환이 이뤄지는 구조는 의료현실과 맞지 않으며, 기존 제도와도 충돌하는 상황이다.

게다가 관리급여 정책은 실질적으로 '비급여 퇴출 기전'으로 작동해 환자의 치료 기회를 박탈하고, 개별 의료기관의 현실을 무시한 일방적 가격 책정으로 진료 자체를 포기하게 만든다는 것.

서울시의사회는 "정부의 관리급여 추진안은 실손보험사의 손해율 개선이라는 왜곡된 목적에 근거하고 있으며, 환자 보호와는 무관한 조작된 명분 아래 추진되고 있다"면서 "정부가 말하는 '환자 보호'는 결국 실손보험사의 손해율을 낮추기 위한 가면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비급여 자율성과 진료 자율권을 침해하는 모든 시도를 철회하고 환자의 치료선택권을 전면 보장해야 한다는 게 서울시의사회의 판단이다.

서울시의사회는 "의료계와 충분한 협의를 통해 실손보험사 이익을 대변하는 왜곡된 정책이 아닌 국민 건강권을 최우선으로 하는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며 "의료현장의 붕괴를 초래할 수 있는 관리급여 정책의 즉각적인 철회를 위해, 모든 단체와 연대해 단호히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