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메카코리아, AI 기반 맞춤형 화장품 플랫폼 개발 박차

산자부 R&D 과제 선정, 디지털 뷰티 플랫폼 구축 속도
피부 진단부터 제품 추천까지… 통합솔루션 개발 나서

코스메카코리아(대표 조임래)가 산업통상자원부의 '산업집적지 경쟁력 강화사업(R&D)'에 최종 선정돼 AI 기반 맞춤형 화장품 플랫폼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19일 밝혔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이번 과제를 통해 충북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산학연 네트워크를 구축해 공동 비즈니스 모델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에스시티, 에피젠, 서원대학교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AI 기술을 바탕으로 한 피부 진단과 맞춤형 제품 개발에 돌입했다.

기술 개발은 △피부 유수분, 주름, 색소침착, 민감도 등 생체 정보를 정밀 측정하는 디바이스 개발 △AI 기반 피부 진단 알고리즘 구축 △개인 맞춤형 화장품 개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연동 등 총 4단계로 고도화가 진행된다. 이를 통해 개인별 피부 상태를 분석하고, 이에 최적화된 제품을 추천하는 통합 플랫폼이 구축될 전망이다.

특히 피부 분석에는 바우만 피부유형 이론을 적용해 객관성과 정밀도를 높인다. 이를 통해 개인의 피부 특성을 수치로 분석하고,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진단 결과를 제공한다. 아울러 엘더플라워, PDRN, 에델바이스 추출물 등 글로벌 시장에서도 인정받는 천연 유래 고기능성 성분을 접목해 피부 트러블, 색소침착, 탄력 저하 등 다양한 피부 고민에 최적화된 제품 개발에도 주력한다.

조항의 코스메카코리아 기술연구원 이사는 "AI 기술을 접목한 화장품 개발은 소비자의 피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과학적 처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뷰티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을 의미한다"며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까지 확장 가능한 미래형 플랫폼을 구축하고, 기술 중심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이라고 말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이번 사업을 계기로 AI 및 DX 기술을 접목한 디지털 기반 화장품 솔루션을 고도화할 방침이다. 더불어 기업 간 기술 협업 체계를 강화하고, 충북 중심으로 디지털 뷰티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해 국내 화장품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계획이다.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