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암센터, 국제암연구소와 MOA 연장 체결

국립암센터(원장 양한광)가 국제암연구소(IARC)와 지난 6일(현지시간) 프랑스 리옹에서 위암 예방을 위한 공동연구인'HELPER 연구'협력을 연장하는 MOA를 체결했다.

'HELPER 연구'는 지난 2014년 MOA를 계기로 시작된'대한민국 위암예방을 위한 헬리코박터 감염 치료 효과 연구'로, 위암 발생 위험이 높은 국내 40-65세의 성인 약 1만2000명을 대상으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제균 치료가 위암 발생을 예방하는지를 검증하는 무작위 비교임상연구이다.

구체적으로 국립암센터는 위암센터 최일주 교수팀이 지난 2013년부터 2025년까지 총 60억 6000만 원의 연구비로 연구 설계, 대상자 모집, 임상수행, 장기 추적 등을 총괄하고 있으며 IARC는 박진영 박사가 이끄는 위암예방팀이 연구 프로토콜 개발, 연구대상자 안전 및 데이터 모니터링, 후속연구 자문 등의 역할을 맡고 있다.

이날 체결식에서는 IARC 엘리자베스 바이더파스 소장, 클레망 쇼베 전략실장, 박진영 박사를 비롯해 국립암센터 양한광 원장, 김열 대외협력실장, 보건복지부 정통령 공공보건정책관, 신은식 주무관 등 주요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존 MOA의 5년 추가 연장에 합의했다.

최일주 교수는"이번 연구는 국내 일반인 대상으로한 장기 임상연구로, 위암 예방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며 "IARC와 긴밀한 협력을 통해 아시아 및 세계 위암 예방 전략의 표준모델을 제시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진영 박사는"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큰 규모의 다기관 연구는 세계적으로 드물고, 또 장기 추적 검사를 통해 그동안 얻지 못했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 위암 예방 전략을 수립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양한광 원장은 "HELPER 연구는 한국이 주도하고 IARC가 협력하는 국제 공동연구의 대표 사례"라며 "이번 MOA 연장을 계기로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위암 예방 전략을 국제사회에 제시하고, 암 부담을 줄이기 위한 글로벌 협력에 더욱 힘을 보태겠다"고 화답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