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을 앞두고 54세의 아들이 75세 어머니에게 간이식으로 건강한 새 삶을 선물했다.
중앙대학교병원(병원장 권정택) 장기이식센터(센터장 서석원)가 4월 15일 모자간의 생체 간이식 수술로 중앙대의료원 100번째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 이식 수술은 복수를 동반한 말기간질환 및 간세포암으로 투병 중이던 75세 여성 문모 씨에게 54세 아들이 자신의 간 장기를 공여해 이뤄지게 됐으며, 어버이날을 앞두고 5월 2일 모자가 건강한 모습으로 병원을 퇴원하게 됐다.
문 씨는 2015년 11월부터 대사기능장애 연관 지방간질환(MASLD)에 의한 간경화 진단을 받고 병원을 다니면서 치료를 해오다 2023년 8월 간세포암이 발견되어 고주파 열 치료를 받았다.
그런데 점차 간경화가 진행되어 올해 2월에 배에 복수가 차고 피까지 토하는 객혈 증상까지 나타나게 돼 중앙대병원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중앙대병원 장기이식센터장)에게 간이식을 권유받게 됐다.
서 교수에게 간이식이 필요하다는 소견을 들은 아들 오 씨는 어머니에게 자신이 간을 공여하겠다고 흔쾌히 결심하고, 주저하는 어머니에게 아무 걱정하지 말고 건강해질 수 있으니 힘내시라고 응원하면서 이식 수술을 과감히 결정했다.
간이식은 살아있는 사람의 간을 이식하는 생체 간이식과 사망한 사람의 기증된 간을 이식하는 뇌사자 간이식으로 나뉘는데, 국내에서는 뇌사자 간이식 기증이 드물어 가족 중 공여자를 찾는 경우가 많은데, 오 씨는 검사 결과 간의 크기와 구조가 적합한 것을 확인하고 수술을 진행하였다.
이번에 모자의 간이식 수술은 중앙대병원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중앙대병원 장기이식센터장)의 집도로 아들인 오 씨의 간의 우엽을 적출한 뒤 아들의 간을 환자 문 씨에게 이식하는 과정으로 8시간 동안 진행됐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아들은 빠르게 회복해 10일 만에 먼저 퇴원하고 문 씨도 지난 5월 2일 건강한 모습으로 가족과 함께 퇴원하게 됐다.
중앙대병원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중앙대병원 장기이식센터장)는 "기증자뿐만 아니라 고령의 수혜자 모두 수술 후 합병증 없이 정상 간기능을 되찾고 건강하게 퇴원하게 되어 감사하다"며, "어버이날을 앞두고 아드님의 선물로 중앙대의료원의 100번째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하게 된 환자분께서 앞으로도 100세 넘게 건강하게 장수 하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중앙대병원 장기이식센터에서는 어버이날을 앞두고 100번째로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가운데, 권정택 중앙대병원장과 서석원 교수를 비롯한 장기이식센터 의료진이 건강을 회복한 이들 모자를 축하하는 자리를 지난달 30일 가지고 카네이션을 선물하며 기쁨을 함께했다.
중앙대의료원은 2015년 7월 22일 중앙대병원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가 처음으로 '생체 간이식'을 성공한 이후, 서울에 중앙대병원과 광명병원을 아우르는 장기이식센터팀을 구축해 양병원의 장기이식 의료진의 협력으로 간이식뿐만 아니라 심장, 신장이식 수술을 시행해 오고 있는 가운데, 지난 4월 15일 100번째로 생체 간이식을 성공적으로 달성해 국내에서 손꼽히는 장기이식 수술 전문의료기관으로 입지를 다져오고 있다.
간이식을 할 때 혈액형이 다른 경우에는 수혜자 몸에 존재하는 항체가 거부반응을 일으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혈액형 부적합 간이식'은 공여자와 수혜자가 혈액형이 달라도 이식 전 골수에서 혈액형 항체 생성을 억제시켜 면역 부작용 없이 간이식을 시행할 수 있는 고난도 수술로써, 중앙대병원 서석원 교수팀은 지금까지 '혈액형 부적합 생체 간이식 수술'을 시행하며 높은 성공률을 보이면서 국내를 대표하는 간이식 치료 전문병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앙대병원 간담췌외과 서석원 교수(중앙대병원 장기이식센터장)는 "우리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한 지 10년이 됐는데, 장기이식센터를 비롯한 소화기내과, 병리과, 진단검사의학과, 영상의학과의 유기적인 협력으로 안전하고 최고 수준의 장기이식 의료기관으로 입지를 구축하게 됐다"며, "장기 기증자와 이식받는 환자의 혈액형이 같지 않더라도 수술 결과에 차이가 없고, 높은 성공률과 생존율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간이식 전문병원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생체 간 기증과 이식을 적극적으로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