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료업계 "소비자 부담 최소화에 노력"

정부와 협조해 원가 부담에도 가격 인상폭 최소화

원가 부담이 커져만 가는 음료업계가 소비자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부와의 지속적인 논의를 통해 적극 협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최근 일부 업체의 음료 가격 인상과 관련해 당류, 알루미늄·페트(포장재) 등 원·부자재 가격과 환율 상승, 물류비와 인건비 등 경영비 부담이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다른 가공식품과 마찬가지로 음료도 주요 원재료를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환율 변동과 국제 원재료 가격 변화에 민감하며, 내수 비중이 큰 기업의 경우 더욱 심각한 실적부진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식품업계는 원가부담 완화를 위해 정부의 수입 원재료 할당관세, 수입부가가치세 면제 등 세제·금융지원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가격 인상폭을 최소화하고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음료 등 가공식품은 국민 생활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우리 식품업계는 소비자 부담 최소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