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협약을 통해 사회·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는 이주민들에게 폭넓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그동안 의료 취약계층 이주민들은 질병이 발생해도 병원 문턱이 높아 제때 의료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었다. 이들이 병원을 쉽게 이용할 수 없었던 가장 큰 이유는 진료비 문제와 간병비 때문이었다. 병원은 이번 협약을 통해 국내 거주하는 이주노동자, 다문화 가정, 난민 등 의료취약계층 이주민들을 대상으로 방문진료, 외래·입원진료와 함께 의료비 지원, 간병비 지원 및 퇴원 후 원활한 사회 복귀를 위한 계획 수립까지 포괄적인 보건의료복지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먼저 의료취약계층 이주민 중 병원비 지불능력이 없는 환자는 ‘301 네트워크’로 연계해 진료비와 간병비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와 함께 의료통역서비스는 각 단체의 자원을 활용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돕는다. 특히 만성신장질환을 갖고 있는 취약계층 이주민들을 위한 혈액투석이나 말기 암 환자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병동, 뇌졸중 등 중증 재활치료가 필요 환자를 위한 전문 재활치료 분야에 의료지원을 집중할 예정이다. 권용진 원장은 “사회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취약계층 이주민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해 병을 키우는 경우도 허다하다”면서 “여러 단체들과 함께 힘을 모아 취약계층 이주민들이 제때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이주민들의 건강안전망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