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군인 출신인 술탄 씨(Sultan Salem Abdullah Al-Zaabi, 58세, 남)는 평소 고혈압과 비만으로 지난 2009년부터 만성신질환을 앓아 왔다. 이듬해 극심한 가슴 통증을 동반한 허혈성심질환으로 2010년에는 관상동맥우회술을, 2011년에는 관상동맥중재술을 받았다. 허혈성심질환은 심장 근육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혈관에 지방질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질환이다. 그 사이 신장 기능은 더욱 나빠져, 2012년 3월부터는 혈액투석을 받았다. 그에게 주 3회 혈액투석은 여간 힘든 일이 아니었다. 그가 다니는 자이드 군병원(Zayed Military Hospital)은 신장이식을 권했다. 말기신부전까지 온 것이다. 그와 혈액형이 같은 첫 째 아들(3남 3녀 중) 모하메드(MOHAMED SULTAN ALZAABI, 30세)씨는 그러한 아버지를 보며, 신장을 기증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UAE에는 신장이식을 하는 병원이 없었다. 술탄씨 가족은 전 세계 주요 병원을 수소문 하며, 이식이 가능한 병원을 찾았다. 그러나 지난해 4월, 중국 소재 모 대학병원에 신장이식 가능 여부를 물었으나, 심장이 불안정한 그에게 ‘신장이식은 힘들다’는 답변만 돌아 왔다. 가족들은 마지막이라는 심정으로 UAE 국방부를 통해 서울대병원에 연락했다. 서울대병원은 지난해 UAE 국방부와 협약을 맺고, 군인을 비롯한 자이드 군병원 환자들 중 현지 치료가 불가능한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그러다 한국으로부터 반가운 소식이 전해왔다. ‘신장 이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술탄씨 가족은 안도의 한숨과 함께, 인천공항을 통해 지난 2월 입국했다. 당시 서울대병원 장기이식센터 의료진들은 한 자리에 모였다. 술탄씨는 신장뿐 아니라 심장도 좋지 않아 수술 위험이 높았다. 심장이 장시간 마취를 견디기 위해서는 한 치의 오차도 없는 정교하고 신속한 수술이 필요했다. 양재석 장기이식센터 교수는 아버지와 아들의 수술 전 신장상태 평가와 이식 후 관리를, 정창욱 비뇨기과 교수는 아들의 신장 적출을, 민상일 외과 교수는 적출된 신장의 이식과 이식 후 관리를 맡으며, 긴밀한 협진을 했다. 지난달 6일 오전 9시, 아버지와 아들은 나란히 병원 2층 수술장으로 향했다. 수술은 성공적으로 끝났다. 술탄씨는 아들의 건강한 신장을 받고, 병실에서 회복 하다 27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술탄씨는 “한국에서 치료 받으라고 한 것은 UAE 의사들이었다. 한국에 대해서 잘 알지 못했지만, UAE의사들이 바른 선택을 했을 거라 믿었다”며 “한국에서 치료 받는 동안 숙련된 의사들의 긴밀한 공조와, 신속한 진료절차, 국제진료센터의 친절한 서비스에 감동했다”고 말했다. 민상일 교수는 “성공적인 이식이다. 이식된 신장이 기능을 잘 하고, 환자 상태도 좋다”며 “향후 건강관리와 면역억제제 복용, 외래진료도 중요한데 자이드 군병원과 원격진료가 가능해 추후 관리도 잘 될 것으로 예상 된다”고 전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