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형제약, "인증할 땐 언제고 취소라니!"

보건의약계, "취소 제약사...기업 이미지-주가하락 우려"
"7.18...43개사 인증서 수여, 잉크에 침 마르기도 전에"

보건의약계는 정치권의 혁신형제약기업 인증 취소 공세와 관련, ">   
▲ 보건의약계는 정치권의 혁신형제약기업 인증 취소 공세와 관련, "한 번 인증된 제약사에 대해 인증취소 조치보다는 부분적인 개선-보완책 제시가 더 중요하다"면서 정치권의 대안없이 무분별하게 주장하는 정치적 공세에 각성을 촉구했다.<사진은 지난해 9월, 국회 복지위의 복지부에 대한 국정감사 장면.> 
  
◇...복지부가 제약산업을 육성하고 글로벌 제약강국으로 거듭 나기위해 추진했던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의 건이 최근 적발된 리베이트 제공-수수혐의 등으로 자칫 좌초될 위기에 봉착했다.

그러나 뜻 있는 보건의약계 관계자들 사이에서 비록 소급적용은 어렵겠지만, 리베이트 제공수수 혐의 제약(혁신형 제약사)사의 경우 복지부가 선정(2012.6.18)하고 인증서를 수여(2012.7.18)한 이후에 발생된 리베이트 건으로 그 간격을 좁혀 나가자는 주장이 일고 있다.

■ 인증취소 땐, 기업이미지 실추-주가하락...'제약산업 붕괴' 우려

이와 관련 제약업계의 한 관계자는 "혁신형 제약기업으로 선정됐다가 이번 사건으로 인증이 취소된다면 '기업이미지 실추'는 물론, '주가하락' 등의 여파가 불을보듯 뻔해 이런 일이 발생해선 안 될 것"이라면서 "복지부도 이번 사안을 혁신형제약기업 선정이후에 발생한 리베이트 제공-수수로 국한하는 정책적 배려가 절실한 시점"이라고 대안을 제시했다.

제약사의 고위 임원도 "약가인하로 환산할 수 없는 큰 손실을 보고 있는 제약업계가 만약, 이번 리베이트 사건으로 정부가 인증한 혁신형제약사를 무력화 시킨다는 것은 경제논리에도 맞지 않다"고 전제, "제약기업은 이윤과 매출 등이 존재의 이유가 되기 때문에 복지부가 이를 스스로 파기하는 일은 하지 말아야 할 '우책=어리석은 정책'이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 한 번 혁신형제약기업 인증 했으면, 취소는 말아야!

따라서 보건의약계는 비록 정치권이 대형 제약사 운운하면서 인증취소 분위기로 몰고 가더라도 당초 복지부가 주장한 정책 기조에 입각, 한 번 인증한 제약사는 여타 관련법적인 처벌은 받는 한이 있어도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취소는 하지 말아야 할 것을 복지부에 적극 주문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정치권은 당리당략에 의한 정치적 공세보다는 경제논리에 입각한 정책추진에 무게를 두고 정치적 대안을 제시해 줄 것을 아울러 주문하고 있다.

김현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