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2010년 ㈜아모레퍼시픽에서 독립법인으로 분사하고, 사업 독립성과 전문성을 강화한 이후에는 매우 우수한 성과를 기록. 2011년 이니스프리는 2010년 대비 매출이 70% 성장한 1405억원을 기록하며, 메가 브랜드(매출 1000억원 이상의 브랜드)로의 성장을 무난히 달성했다. 매장 수 역시 매년 30% 이상 확대하며 2012년 4월 현재 약 500여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상품측면에서도 온라인 등 뉴미디어를 활용한 고객 커뮤니케이션 확대를 통해 그린티 라인, 올리브 라인, 화산송이 등 자연주의를 컨셉으로 한 다수의 히트상품을 내놓고 있다.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이니스프리(www.innisfree.co.kr)가 4월 지구의 달을 기념해 친환경 패키지와 우리나라 고유의 멸종 위기 야생화의 컬러를 담은 ‘에코 메이크업’ 라인(9종)을 한정 판매. 지구의 미래와 환경을 생각하는 마음을 담아 스페셜 에디션으로 제작된 ‘에코 메이크업’ 라인은 친환경 소재 패키지를 사용해 제품뿐 아니라 용기에도 환경을 생각하는 이니스프리의 마음을 담았다. 친환경 패키지에 사용된 옥수수 전분 소재는 땅 속에서 3~6개월 안에 토양과 같은 형태로 완전 분해되는 성분. 이니스프리는 메이크업 제품에 이러한 친환경 소재를 적용해 버려지는 용기로 인한 환경오염을 최소화 했다. ‘에코 메이크업’ 라인은 컬러 또한 특별하게 제작. 야생화에서 영감을 받은 컬러를 트렌드에 맞게 제품에 접목시켜 자연스러우면서도 독특한 메이크업 컬러로 표현해 낸 것. 특히 노랑만병초, 제주상사화, 단양쑥부쟁이 등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식물들의 컬러가 모티브가 돼 사라져가는 우리의 야생화의 소중함을 되새기고자 했다. 환경을 생각하는 자연주의 브랜드 이니스프리는 이번 리미티드 에디션 패키지 외에도 버려지는 파래와 감귤을 활용한 재생지를 제품 포장지로 사용하는 등 지구를 생각하는 활동에 앞장서왔다. 또한 생활 속에서 소비자들이 직접 참여하 수 있는 공병 수거 캠페인, 휴지 대신 손수건 사용을 권장하는 ‘에코 손수건 캠페인’ 등 고객과 함께하는 실천형 캠페인을 꾸준히 시행하여 지속적인 친환경 운동을 펼치고 있다. ▷자연주의 화장품 이니스프리가 올해도 6월 환경의 달을 맞아 ‘에코 손수건 캠페인’을 진행. ‘에코 손수건 캠페인’은 2010년부터 시작돼 “지구를 위해 손수건을 꺼내세요”라는 캐치프레이즈와 함께 환경의 달, 6월에 진행되는 이니스프리의 대표적인 환경 캠페인. 휴지 대신 손수건을 사용함으로써 나무와 꽃을 살리고 더 나아가 지구를 보호하자는 취지에서 시작된 캠페인이다. - 올해는 그 캠페인의 세 번째 해로 ‘환경오염과 기후 변화로 멸종 위기에 처한 제주 야생화를 함께 보호하자’라는 주제로 멸종 위기의 금새우란, 한란, 죽절초, 황근 등의 야생화를 일러스트로 표현한 에코 손수건 3종을 선보였다. - 이와 함께 ‘에코 손수건 캠페인’의 일환으로 이니스프리의 스테디셀러 아이템인 ‘더 그린티 씨드 세럼'과 '그린티 미네랄 미스트'에 에코 손수건의 일러스트가 그려진 리미티드 에디션도 각 3종씩 출시. 기존 제품보다 2배 더 커진 용량에 합리적인 가격을 선보이는 리미티드 에디션은 6월 한달 간 이니스프리 전국 매장에서 한정 판매되며, 판매 수익금 100%는 멸종 위기의 제주 야생화를 복원하는 활동에 기부. 이를 위해 이니스프리는 지난 5월엔 제주테크노파크 생물종다양성연구소와 기부 협약을 맺어 지구와 환경을 위한 지속적인 환경 활동을 이어간다. ▷이니스프리가 지난4월 중국 상해 남경서로에 상해1호점 플래그십스토어(Flagship store)를 오픈, 런칭 기념행사를 갖고 중국 대륙 내 “K-Beauty 전파”에 나섰다. 최근 중국 화장품 시장에서 급성장하는 화두인 ‘자연주의’ 카테고리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중국을 넘어 아시아 No.1 자연주의 브랜드가 되기 위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니스프리의 글로벌 모델로는 건강하고 자연스러운 이미지의 소유자이며, 중국 내 가장 주목받고 있는 아시아 스타인 이민호가 나섰다. 지난 4월, 이미 오픈한 이니스프리 온라인 홈페이지 및 쇼핑몰에서는, 웹사이트 내 이민호의 소셜무비 다운 증가로 웹사이트의 서버가 마비되는 등 크게 화제가 됐었다. 또한, 공식 매장 오픈 전부터 중국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웨이보에 10만명의 이니스프리 팬을 확보하는 등 중국 고객들의 폭발적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니스프리는 현지여성들이 가장 많이 찾는 거리 중에 하나인 중국 상해 남경서로에 1호점을 기점으로, 연내 총 10여개 매장을 오픈하고 중국 대륙 진출을 확대해나갈 계획이다. .............................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