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에서 유통되는 부정식품이 매년 늘어나는 가운데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식품 역시 현지에서 부적합 식품으로 판정된 양이 약 975톤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숙미 한나라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부정식품 발생, 회수현황’에 따르면 지난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최근 3년간 국내의 부정식품의 생산(또는 수입)량은 총 8,810,179kg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회수량은 2,790,166kg에 그쳐 약 70%는 이미 소비되거나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22일 식약청 국감에서 손 의원은 지적했다. 특히 2010년 부정식품 생산(수입)량은 3,726,549kg으로 2009년 245,1374kg 대비 1년만에 무려 1,275,175kg(52%)이나 급증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2008년부터 2010년까지 국내에서 생산된 부정식품이 전체 대비 59.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중국(29.2%), 미국(3.3%), 인도(2.8%) 순으로 나타났다. 부정식품 회수율이 가장 낮은 국가는 베트남(10.8), 대만(23.1%), 중국(27.9), 북한(29.8%) 순이었다. 지난해 국내 수출식품이 해외에서 부적합식품으로 판정받은 양은 무려 975톤에 달했다. 유명 대기업의 과자와 라면은 물론 분유와 같은 민감한 식품 등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합 판정을 받은 총 21개 업체 중 6개 업체 21,253kg의 제품은 아직 폐기되지 않고 국내외 어딘가에서 보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 1/4분기에도 이미 30,010kg이 부적합 판정을 받았으며 87.3%에 달하는 26,205kg이 폐기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식약청은 수출식품에 대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당업체에 통보만 할 뿐 해당업체의 자가품질검사 결과 및 식약청 차원의 지도, 점검 등의 조치를 등한시하고 있다고 손 의원은 지적했다. 이에 대해 식약청은 "국내 제품에 대해 정기적으로 수거해 검사를 하고 있으며 해당국의 기준과 국내 기준이 달라 별도의 검사는 필요없다"는 입장이다. 손 의원은 “식약청은 수출부적합 식품에 대해 각 업체가 자체 시행하는 자가품질검사에 의존하고 있어 이에 대한 제도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또 “식약청은 수출부적합 식품업체에 대한 지도점검을 강화해야하며 국가간 기준 차이로 국내 수출업체도 피해를 보고 있는 만큼 수출식품에 대한 국가별 기준을 비교할 수 있도록 비교편람을 발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