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기석 지운구·개운구 운동 우수성 ②
<지난호에 이어>
(3) 지운구 운동 - 치매 예방에 큰 도움 <그림 1>
손에 잡는 순간 대뇌의 혈액순환이 잘 된다(음양맥상 조절). 손가락을 많이 움직이면 대뇌의 모든 운동, 감각중추가 활성화된다.또한 대뇌의 모든 중추가 발달해 치매 예방에 꼭 필요하다. 지운구 운동을 계속하면 치매 걱정할 필요가 없다.
모든 중추를 활성화시키므로 전신의 체력과 기능 강화에 도움이 된다.
(4) 개운 역근법 운동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림 2>
지금까지는 개운구 중심으로 역근법 운동을 해서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천기석 지운구로 운동을 해도 역근법 운동 효능을 얻을 수 있다.
천기석 지운구는 두 개씩 잡고서 꼭꼭 잡는 운동이다. 맨손으로 주먹을 꼭꼭 쥐는 것은 위험할 수 있어 주의한다.
(5) 천기석 지운구 – 항상 신체에 지니거나 가까이 보아도 맥상 조절에 도움이 된다 <그림 3>
천기석에서 나오는 초전자기파를 신체에 가까이하면 인체의 미네랄을 활성화시켜 맥상 조절에 도움된다. 또한 잠잘 때나 앉아 있을 때는 옆에 놓고 보이게 해도 맥상 조절, 정신집중, 피로 예방에 도움이 된다.
※ 참고 : 천기석 지운구는 음양맥상이 조절됐다가 다시 편차가 생기는 이유는 천기석 기운이 약하기 때문이다. 이때는 천기석 돌매트나 발지압매트, 베개, 벨트를 함께 이용하면 더욱 도움이 된다.
천기석 지운구 사용법
천기석을 만지거나 보기만 해도 음양맥상을 조절시키므로 항상 신체에 지니거나, 손에 잡고 있을수록 좋고 또는 항상 보이게 놓아둬도 좋다.
손에 잡고 운동하면 다섯 손가락을 항상 움직일 수 있어 좋다. 왼손에 잡을 때는 지운구 2개를 똑같이 잡지 말고 약 1~2cm 삐뚤어지게 잡고 왔다갔다 움직인다.
일반 지압봉은 움직임이 없어서 답답한 느낌이 있고 엄지와 다른 4지를 왔다갔다 비벼주는 운동을 수없이 반복한다. 손가락 5개를 모두 움직이면 일반 지압봉보다 운동감각이 좋다.
지운구 2쌍이 있으면 양손으로 비비는 손운동을 해도 좋다.
천기석 지운구 운동 효능
대뇌반구에 있는 운동·감각중추 중에서 제일 큰 부분이 손가락 부분이다.
손가락 부분은 많이 움직일수록 대뇌의 운동·감각중추 전체가 활성화되고 이어서 발달이 된다.
고령이 될수록 대뇌가 위축돼 작아지는 경향이 있으나 천기석 지운구는 대뇌혈류량 조절과 함께 손가락 운동을 실시하므로 손 중추가 활성화하면 다른 중추도 모두 활성화가 되고 이어서 지속적인 운동을 하면 중추가 발달해지고 대뇌의 위축이 줄어들거나 정지되고 나아가 대뇌가 커질 수 있다.
대뇌에 산소와 포도당을 충분히 공급하므로 대뇌기능 향상에 좋으며, 특히 치매예방에도 가장 적합한 운동이다.
치매 예방을 위한 글쓰기, 손놀이, 그림작업, 기억력 증진법들이 있으나 대뇌의 혈액순환을 조절하기 어렵고 대뇌 중추를 활성화시키기는 더욱 어렵다.
천기석 지운구는 일반적 치매 예방보다 확실한 도움이 된다. 일반적 치매 예방법은 단순한 방법이나 지운구는 대뇌혈류 조절을 도와준다.
대뇌의 중추 활성화, 발달, 혈액순환 조절로 산소, 포도당 공급으로 대뇌기능이 크게 향상할 수 있다. 특히 건망증, 기억력 감퇴, 깜빡 잘 잊어버리는 경우를 예방할 수 있다.
지운구로 손운동하는 방법 <그림 4>
①지운구를 사진과 같이 언밸런스(비스름하게, 삐뚤게)하게 잡는다.
②언밸런스된 지운구를 엄지 부분과 나머지 손가락으로 좌우로 움직인다.
③수시로 계속 움직이면 손운동이 된다.
④호두나 가래는 손운동하기가 불편하지만 지운구는 간편하고 부드럽게 운동할 수 있다.
⑤한 손으로 운동해도 좋으나 시간과 기회가 되면 양손에 잡고 하면 더욱 좋다. 치매 예방 목적이면 양손 운동이 더 좋다.
⑥가급적 운동 시, 차를 탈 때, 지하철 등에서 움직일 때는 가만히 잡고 있는 것이 좋다. 볼록한 면이 A6·8·12에 대고 있으면 소화가 잘되고 배 속이 편하다.
⑦가민히 있을 때도 지운구 운동이 필요하고 좋다.
⑧지운구 운동은 많이 할수록 좋다.
<끝>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