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보건산업을 미래 성장동력 핵심산업으로 상용화 지원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8일 포시즌스호텔 서울에서 '2024 보건산업 성과교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10회째를 맞이한 보건산업 성과교류회는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과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장을 비롯해 기업·연구자·산업 관계자 등 200여 명이 참석했다.
행사 1부에서는 보건산업 발전에 기여가 큰 개인과 단체를 발굴하여 공로를 알리고 노고를 격려하는 유공자 포상식이 진행됐다.
이번 유공자 포상은 보건의료 기술진흥(R&D), 보건의료 기술사업화, 혁신형 제약 및 혁신형 의료기기 등 4개 분야의 총 82명에게 포상을 수여했다.
GENOSCO(주)의 고종성 대표는 국내 최초 표적 비소세포폐암치료제'렉라자(성분명 레이저티닙)'를 개발 및 기술 수출하여 국산 항암제 최초로 미국 FDA 품목허가의 쾌거를 달성, 원천기술 개발부터 사업화까지의 R&D 전주기 프로세스를 확립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한국화학연구원 황종연 책임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단백질 분해제 원천기술 개발을 통해 표적 단백질 분해기술(TPD)의 지평을 넓힌 공로로 국민포장이 수여됐다.
앱클론의 이종서 대표이사는 세계적 수준의 항체 개발 라이브러리 구축을 통해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항체치료제 및 유전자·세포치료제 개발에 기여한 공로로 대통령표창을 받았다.
국무총리표창은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인공신장용 혈액여과기(혈액투석필터, 모델명 Synoflux®)의 국산화에 성공하여 의료비용 절감 및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활성화에 기여한 ㈜시노펙스의 이진태 본부장과, 면역항암제 치료 환자 코호트(동일집단)를 유전체-임상정보와 통합한 국내 최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면역항암제 반응성 및 저항성 기전 규명에 기여한 공로로 삼성서울병원 이세훈 교수에게 수여됐다.
이 외에도 24년 한 해 동안 우수한 성과로 보건산업 발전에 기여한 보건의료 기술진흥(R&D) 분야 36명, 창업·벤처기업 기술사업화 분야 15명, 혁신형 제약기업 4명 및 혁신형의료기기 기업 5명에 대해 보건복지부장관표창이 수여됐다.
2부에서는 보건산업 분야 연구자, 제약 및 의료기기 기업 등의 대표들이 모여 올해 성과와 우수사례를 공유하는 분야별 성과교류회가 진행됐다. 정부포상을 수상한 연구자 5명이 보건의료 R&D 기술진흥 우수성과 발표한 뒤 △바이오의료분야 사업화 성과 창출에 성공한 창업기업 사례 △혁신형 제약기업의 국내외 신약 인허가 획득 성공사례 △인력양성 우수사례 △의료기기 및 화장품 산업 분야 글로벌 진출 성공사례 등이 소개됐다.
보건복지부장관표창을 받은 녹십자와 대웅제약이 정부지원을 통해 신약을 개발하고 국내외 신약 인허가를 획득한 성공 사례를 소개했다.
녹십자는 정맥투여용 면역결핍증 치료제 알리글로를 자체 개발하여 2023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다. 알리글로는 원료의약품과 완제의약품을 모두 제조하여 품목허가를 받은 유일한 한국 바이오 신약으로, 녹십자는 이를 개발하고 품목허가를 받는 과정에서 겪은 오랜 기간 시행착오를 통해 축적한 창조적 역량을 공유했다.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치료제인 국산신약 34호'펙수클루정(성분명 펙수프라잔염산염)'을 2022년 7월에 출시하여 2024년 5월 누적 매출액 1000억 원을 돌파하고, 제2형 당뇨병 치료제인 국산신약 36호 '엔블로정(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을 2023년 국내 출시함으로써 2년 연속 신약 발매에 성공했다. 특히 '펙수클루정'은 자체 기술개발 순수 국산 신약으로 중국 및 전세계 24개국에 진출하여 약 1조2000억원 규모 수출계약을 맺으며 K-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쟁력을 제시했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보건산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증진을 위해 중추적인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보건안보를 강화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창출하는 핵심산업으로 그 중요성이 날로 더 커지고 있다"며 "이번 보건산업 성과교류회가 대한민국을 이끄는 우수한 연구자와 기업의 경험과 지식이 공유되어 보건산업이 한층 더 성장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도 R&D 투자 확대, 글로벌 공동 연구 추진 등 유망기술 확보와 상용화 지원 및 글로벌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