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집' 개정‧발간

효율적인 해썹 관리를 위한 위해요소 분석정보 제공

해썹 운영 내실화를 위해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식품유형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를 확대 제공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는 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HACCP, 이하 해썹) 적용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해요소 분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 효율적인 해썹 운영이 가능하도록 돕는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집'29일 개정발간한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원장 조기원, 이하 HACCP인증원)은 HACCP(식품안전관리인증기준) 적용업체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위해요소 분석에 대한 자료를 제공해 효율적인 HACCP 운영이 가능하도록 돕는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집' 을 배포했다.

이번 정보집 개정은 보다 많은 식품 영업자가 정보집 내의 분석자료를 참고해 위해요소 분석(위해요소 도출, 발생가능성 평가)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위해요소 분석 정보제공 대상 품목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주요 개정 내용은 해썹 의무적용 대상인 빵류 등 4개 품목을 제조하는 업소에서 주로 사용하는 원료의 생물학적화학적물리적 위해요소에 대해 식품안전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자료 추가 최신정보를 반영한 위해요소 발생가능성 평가 자료 현행화 등이다.

빵류 등 4개 품목의 원료별 위해요소 분석내용(Hazard Analysis) 국내외 식품의 기준규격 위해요소에 대한 국내 시험검사 결과 분석 내외 식중독 발생사례 등 위해정보 등을 추가했다.

국내외 식품 위해정보와 시험검사 결과 등 약 480만 건의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원료별 위해요소의 도출 항목과 발생가능성을 분석했다.

아울러 이 분석자료에 대해 학계산업계 등 전문가의 자문과 분석정보 제공 대상 업체(빵류 등 4개 품목 제조업체)의 의견을 수렴해 객관성과 수용성을 높였다.

또한 국내외 위해정보, 시험검사 결과 등 최신정보 사항을 반영해 기존에 제공한 과자류 등 4개 품목의 원료별 위해요소 분석자료 중 발생가능성 평가 자료를 현행화했다.

식약처는 이번에 개정발간한 정보집을 통해 업체가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해썹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 사전 식품안전관리 체계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자세한 내용은 식약처 누리집(www.mfds.go.kr > 자료실 > 안내서/지침)과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누리집(www.haccp.or.kr > 고객센터 > 자료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조기원 원장은"이번 정보집 제공으로 HACCP 준비 또는 인증업체의 경제적 부담과 전문 인력 부족 문제를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효율적인 HACCP 관리 및 HACCP 운영의 내실화를 위해 향후 더 많은 식품원료별 위해요소 분석 정보를 확대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