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품과학회(회장 이철호)가 22일 부산 벡스코 컨벤션센터에서 ‘식품과학기술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이란 주제로 개최한 원탁 대토론회에서 서강대 언론대학원 김학수 원장은 ‘식품과 언론 사이: ‘성급한 다가가기, 도사린 위험’의 원리’ 강연을 통해 이 같이 주장했다. 김 원장은 “속보경쟁과 문제팔기가 생명인 언론 특성상 식품안전과 관련된 과잉 보도는 어쩔 수 없는 일”이라면서 “식약청이 문제의 발견과 팔기를 언론에 맡기지 말고 주도적으로 수행하는 것만이 언론의 문제팔기에 도사린 위험들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과정에서 식품과학자들의 역할도 크다고 지적했다. 그는 “과학은 과학적 사실규명을 넘어 다양한 문제해결을 위해 존재하는 것이다. 과학적 해결력을 갖췄다 하더라도 비과학자들과 함께 동행하지 않으면 해결할 수 없다”며 “식품안전 문제 해결을 위해 식품과학자들이 비과학자들과 함께 동행하는 공동체적 문제해결 노력에 주도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한편 이날 토론회는 산업계, 학계, 언론계, 정부 등 각계 대표 및 관계자들이 참석, 식품안전 보도와 관련된 각자 입장을 피력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산업계와 학계는 성급한 언론보도로 인한 업계 피해 문제를 집중 거론했고 언론계와 정부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상의 문제점을 지적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