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간편식 시장 상위 3사 점유율 83%

시장규모는 도시락> 즉석조리식품> 신선편의식품 순

최근 3년 간 63%라는 빠른 성장률을 보여온 국내 가정간편식 시장이 오는 2022년에 약 5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즉석조리식품의 매출액을 보면, 상위 3개사의 점유율이 매년 증가해 지난 해 전체 시장의 83.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이개호)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이병호)는 가정간편식에 대한 2019 가공식품 세분시장 현황 보고서를 발간했다.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외에도 냉동식품류(만두, 피자, 냉동면 등) 및 식육가공품(삼계탕, 불고기) 등 다양한 제품 유형이 가정간편식 형태로 출시되고 있어, 범위가 더욱 넓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2017년 출하액 기준 가정간편식의 국내 시장 규모는 27421억원으로 201622682억원보다 20.9% 증가했다.

시장 규모가 가장 큰 품목은 도시락 등 즉석섭취식품(52.1%)이며, 이어 즉석조리식품(42.0%), 신선편의식품(5.9%) 순이다.

품목별 2016년 대비 성장률은 신선편의식품(48.3%)이 가장 높고, 즉석조리식품(38.0%), 즉석섭취식품(7.9%) 순이다.

신선편의식품은 미용과 건강에 관심이 높은 20~30대와 직장인의 샐러드 소비 증가로 인해 급격히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가공밥, ··찌개류 등 품목 시장 성장 주도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2018년 국내 가정간편식 출하액은 2017년보다 17.3% 많은 32164억원 규모일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5년간(‘13~’17) 연평균 14.3%씩 성장해온 것을 고려할 때, 향후 증가세는 다소 완화(12%)될 것으로 가정하면 오는 2022년 출하액은 5조원을 상회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석조리식품의 소매점 매출액 정보를 분석한 결과, 시장 규모는 2018년 기준 9026억원으로 2017년 대비 21.8% 증가했다.

특히 제조사 상위 3사(CJ제일제당, 오뚜기, 동원F&B) 매출액은 매년 증가해 2018년도에는 즉석조리식품 시장의 83%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가공밥, ··찌개류 등 한식 품목이 시장 성장을 주도했으며, 카레·짜장류, 스프류 등 1세대 간편식의 시장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한식 품목은 제조사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존 흰밥에서 잡곡밥과 컵밥으로, 기존 국··찌개류가 보양식으로 제품이 다양해짐에 따라 소비자 니즈를 충족시키며 시장이 확대된 것으로 분석된다.

즉석조리식품, 냉동간편식에 소비자 큰 관심

소비자들은 가정간편식 중에서 즉석조리식품이나 냉동식품, 신선편의식품 등에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소비자 트렌드와 향후 가정간편식 시장 성장 방향 예측 등을 위해 냉동간편식까지 범위를 확대,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 시장을 파악한 것이다.

키워드 언급빈도를 분석한 결과, 소비자들은 즉석조리식품(57.8%), 냉동간편식(33.9%), 신선편의식품(6.5%), 즉석섭취식품(1.8%) 순으로 관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석조리식품은 주로 식사 대용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제품 분류별로 관심있는 용도 및 상황을 살펴보면 컵밥, 즉석밥, 스프에서는 여행시'’가 높았고 , , 찌개·퇴근이 높았다.

냉동간편식의 경우 대부분 저녁에 섭취하고 있으며, 주류가 함께 언급되는 경우가 많아 안주용으로 출시된 제품에 대한 소비자 호응도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조리 도구로는 에어프라이어에 대한 언급이 다수 나타났는데, 건강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트렌드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신선편의식품으로는 샐러드를 분석했는데 주로 점심식사대용으로 음료커피와 함께 섭취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편식 품목 중에서는 유일하게 다이어트가 함께 언급돼 건강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품목임을 알 수 있다.

즉석섭취식품은 섭취용도로 식사대용언급이 많았으며, 기대요인으로는 ·식감메뉴 및 구성, 우려요인으로는 비만, 성인병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분류별로 살펴보면, 도시락은 주로 '점심', 샌드위치는 '아침'에 섭취하는 것으로 분석되며, 도시락은 라면’, ‘김밥’, ‘주류, 샌드위치는 음료’, ‘유제품이 함께 언급되는 빈도가 높았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가정간편식 시장의 성장에 맞춰 중소기업과 농업이 동반성장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며 중소식품기업의 제품 개발 및 연구를 지원하고, 가정간편식의 국산원료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기업-농업간 계약재배를 활성화 하겠다고 말했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