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기평, 살모넬라균 제어방법 가능성 높여

식품 살균제 개발 위한 타깃 단백질 제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원장 오경태)살모넬라균의 염소계 살균제에 대한 내성 원리를 규명함으로써 식중독 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했다고 발표했다.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은 농림축산식품연구센터사업의 식품안전성독성연구센터지원사업(단장 최상호 교수)을 통해 식품안전성에 대한 연구를 지원하고 있다.

식품안전성독성연구센터의 서울대 하남출 교수 연구진(주저자 조인성 연구원)과 유상렬 교수 연구진(주저자 김다정 연구원)은 공동연구를 수행해 살모넬라균이 대표적 염소계 살균제인 차아염소산(HOCl)에 대한 내성을 갖게 되는 원리를 밝혔다.

이를 통해 새로운 식품 살균제 개발을 위한 타깃 단백질을 제시해 식중독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연구진은 살모넬라균은 HypT (Hypochlorite-specific transcription factor) 라는 전사 조절자 (transcription regulator)를 이용해 차아염소산을 특이적으로 감지해 중화시키는 방어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분자 기전을 밝혔다.

또 살모넬라의 HypT 단백질의 3차원 입체구조를 고해상도로 규명하고, HypT 단백질이 관여하고 있는 유전자 조절 메커니즘을 분자적 수준에서 해석했다. 연구 결과로부터 HypT가 식중독균을 제어할 신규 살균제 타깃 단백질임을 제시한 것이다.

연구진은 이번에 규명한 살모넬라균의 차아염소산에 대한 내성 발현 기작은 한층 더 효과적으로 살모넬라균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기반 기술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크다고 연구 의의를 밝혔다.


이원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