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모레퍼시픽G, 관광상권 위축으로 영업익 27% 감소

1분기 실적 공시… 매출도 10% 감소한 1조6643억원 기록

지난해 사드폭격으로 고전한 아모레퍼시픽그룹이 올 1분기 경영실적도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 관광객의 유입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해 면세 등 관광상권이 여전히 위축된 탓이다.아모레퍼시픽그룹은 9일 2018년 1분기 실적을 공시했다. 이에 따르면 1분기 매출은 1조6643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0%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781억원으로 27% 감소했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어려운 영업환경 속에서도 국내 사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했다”며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하며 상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했고, 새로운 유형의 매장과 고객 체험형 콘텐츠를 선보였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디지털 플랫폼에서는 맞춤형 디지털 마케팅 활동과 전용 제품 출시에 힘입어 직영몰을 중심으로 온라인 경로의 매출이 성장하기도 했다.

올해 1분기에도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실적 개선의 교두보를 마련하고 진정한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5대 글로벌 챔피언 브랜드(설화수, 라네즈, 마몽드, 이니스프리, 에뛰드)를 중심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했다.

라네즈가 호주 세포라에 입점하며 호주 시장 공략의 신호탄을 쏘아올렸고, 마몽드가 미국 얼타(ULTA)에 입점하며 미국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했다. 또 이니스프리와 에뛰드가 각각 일본과 중동에 1호점을 오픈하는 등 글로벌 신시장 개척에 힘을 쏟았다. 이와 함께 5월 중에는 헤라가 최초로 아세안 시장(싱가포르)에 진출할 예정이어서 지속적인 해외 시장 개척의 기조를 이어나갈 계획이다.

아모레퍼시픽그룹은 혁신 상품 개발, 고객 경험 혁신, 디지털 혁신 등 3대 경영 원칙을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주요 뷰티 계열사 경영 성과를 보면 먼저 아모레퍼시픽은 매출 9% 감소한 1조 4316억원, 영업이익 26% 감소한 2359억원을 기록했다. 주력 계열사인 아모레퍼시픽은 중국인 관광객 감소와 면세 채널 유통 건전화 노력, 주요 관광 상권의 위축 등으로 인해 전년 동기대비 매출과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국내사업 매출은 15% 감소해 9408억원을 기록했고, 영업이익은 33% 감소한 1575억원을 기록했다. 해외사업 매출은 5% 성장한 5008억원을 달성했지만, 영업이익은 7% 감소해 815억원을 기록했다.

럭셔리 브랜드(설화수, 헤라, 프리메라, 바이탈뷰티 등)는 중국인 관광객 감소와 유통 건전화 노력으로 면세 채널 내 주요 브랜드의 매출이 감소했다. 동시에 고객 커버리지 확대와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해 ‘설화수 설린 라인’, ‘헤라 로지-사틴 크림’, ‘프리메라 맨 워터리 플루이드’ 등 다양한 신제품을 출시했다.

프리미엄 브랜드(아이오페, 라네즈, 마몽드 등)는 면세 채널과 주요 관광 상권 위축에 홈쇼핑에서 아이오페를 철수한 여파로 매출이 감소했다. 이에 ‘라네즈 레이어링 커버 쿠션’과 ‘마몽드 크리미틴트 스퀴즈 립’ 등 차별화된 신제품을 출시하며 브랜드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했다. 또 온-오프라인 채널 경쟁력 강화 및 고객 경험 제고를 위해 라네즈 워터바 팝업스토어 운영, 아리따움 스마트클럽 론칭 등을 추진했다.

반면 데일리 뷰티 브랜드(려, 미쟝센, 해피바스 등)는 디지털 플랫폼 별로 최적화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며 온라인 채널에서 좋은 실적을 거뒀다. 또 ‘미쟝센 퍼펙트세럼’, ‘일리윤 세라마이드 아토 집중 크림’ 등 헤어와 바디 케어 기능성 제품 군의 판매가 확대되고, ‘해피바스 뉴트리션 라인’, ‘미쟝센 슈퍼 보태니컬 샴푸’ 등 다양한 신제품 출시가 이어지며 견고한 시장 리더십을 유지했다.

이와 함께 아모레퍼시픽은 5대 글로벌 챔피언 브랜드를 중심으로 경쟁력을 제고하며 해외 사업 확대에도 힘을 쏟았다. 아시아 사업은 5대 글로벌 브랜드 중심으로 경쟁력을 제고하고 사업 확대를 가속화하며 전년 동기 대비 약 7% 성장한 4780억원을 달성했다. 설화수는 ‘자음생수’ 등 주요 신제품과 ‘윤조’, ‘진설라인’ 등 대표 제품의 판매 호조가 이어지며 아시아 대표 럭셔리 뷰티 브랜드로서의 리더십을 제고했다.

라네즈는 ‘퍼펙트 리뉴’, ’슬리핑 라인’ 등 주요 수분 카테고리가 지속 성장했고, ‘레이어링 커버 쿠션’ 등의 혁신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했다. 마몽드는 ‘세포라’와 ‘이브앤보이’ 등 아세안 시장의 멀티브랜드숍 출점을 확대하며 고객 접점을 다변화했다.

이니스프리는 ‘화이트 피오니 톤업 크림’ 등 중국 현지화 제품 출시로 시장 대응력을 강화하고, 일본 1호점 오픈, 아세안 출점 확대 등을 통해 글로벌 사업을 가속화했다. 에뛰드는 일본 시장에서 견고한 매출 성장을 지속했으며, 중국 및 아세안 e커머스 채널 확대 등을 통해 글로벌 영 메이크업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했다.

북미 사업은 세포라에 입점한 라네즈와 이니스프리 플래그십스토어의 판매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약 31% 증가한 153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유럽 사업은 롤리타 렘피카 브랜드 라이선스 종료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약 54% 감소한 76억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새로운 시장 경쟁력 확보를 위해 아닉구딸의 브랜드 리뉴얼(‘Goutal Paris’)을 추진했다.



















김혜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