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메가-3 지방산, 중성지방 개선 효과 없다

국립임센터 명승권 교수팀 메타분석 통해 확인

고중성지방혈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오메가 3 지방산의 효과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국립암센터 명승권 교수팀은 UCLA 보건대학원의 남지나 대학원생과 함께 1988년부터 2016년까지 국제학술지에 발표된 오메가-3 지방산의 이상지질혈증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를 알아본 58편의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임상시험을 종합한 메타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SCI 국제학술지인 유럽지질과학기술저널(European Journal of Lipid Science and Technology) 12월호에 발표됐다. 

연구에 따르면 주요 의학데이터베이스인 펍메드(PubMed), 엠베이스(EMBASE) 및 코크란라이브러리(Cochrane Library)의 문헌검색을 통해 최종적으로 58편의 임상시험을 메타분석한 결과,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는 혈중 중성지방 수치를 위약(플라시보, 가짜약)보다 38.59mg/dL 만큼 낮추었고,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콜레스테롤)은 3mg/dL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분석에 포함된 임상시험들 간에 효과차이가 심했고, 전반적으로 임상시험연구의 질적 수준이 낮았으며, 분석에 포함된 임상시험의 약 70%는 연구대상자수가 100명 미만으로 연구대상자수가 적어 오메가-3 지방산의 이상지질혈증, 특히 고중성지방혈증의 예방이나 치료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불충분하다고 결론 내렸다.

현재 미국심장협회에서는 그동안 사람을 대상으로 시행된 대규모 관찰연구 결과에 근거해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의 예방을 위해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생선(흔히 등푸른 생선)을 일주일에 2회(1회에 100g내외-손바닥 크기 정도) 섭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고, 섭취가 부족한 경우에는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를 권하고 있다.

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와 관련해 "이번에 메타분석을 시행한 결과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혹은 약)가 중성지방을 떨어뜨리는데 임상적인 근거가 부족한 것으로 나왔다"며 "현재 고중성지방혈증의 치료 가이드라인에 오메가-3 지방산이 치료제로 되어 있는데, 이번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관련학회나 전문가 단체에서 논의를 통해 가이드라인의 개정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명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오메가-3 지방산 보충제가 건강기능식품으로 고중성지방혈증 및 심혈관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적지 않은 사람들이 오메가-3 지방산보충제 구입에 돈을 쓰며 복용하고 있는데, 효과에 대한 임상적 근거가 불충분하기 때문에 생선과 같은 음식을 통해 섭취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오메가-3 지방산 외에도 비타민, 글루코사민, 유산균 등 대부분의 건강기능식품들이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임상적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건강유지를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기 보다는 금연, 절주, 표준체중 유지, 과일과 채소의 충분한 섭취, 규칙적인 운동 등 올바른 생활습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논문의 제1저자인 남지나 대학원생은 UCLA 보건대학원 재학 중, 2016년 7월부터 2개월에 걸쳐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에 인턴연구원으로 명승권 교수의 지도 하에 이번 메타분석 연구를 시행했다.


홍유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