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식품 R&D 실용화·상용화위한 기술사업화 촉진”

농기평 기자간담회 열고 올 주요업무 보고

“농식품 R&D는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연구결과의 실용화·상용화가 중요하므로 기술 사업화 촉진에 힘쓰고자 합니다.”

이상길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장은 20일 서울 서초구 소재 진진바라에서 농식품 전문지 기자 간담회를 열고, 올해 주요업무 계획을 이같이 보고했다.

이와 함께 2014년 종료과제 요약집 및 2014년 농식품 R&D 국내외 동향과 전망을 담은 보고서도 소개했다.

농기평은 올해 행복한 농촌을 위한 창조마을 모델 개발을 비롯해 농식품 R&D 정책과의 연계성 제고, 미래성장 산업화를 위한 R&D 기획 강화, R&D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관리 선진화, 우수 연구 성과의 사업화 촉진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농식품 R&D 관련 국내외 동향보고서를 보면 격주 단위로 주요 선진국과 국내의 주요 R&D정책, 연구, 기술 및 산업동향 등을 분석해 ‘우물밖 개구리(국외동향)’와 ‘손에 잡히는 R&D(국내동향)’로 나뉜 것을 한권으로 통합해 정리했다.

농기평은 이번 연구과제들의 최종결과를 알기 쉽게 정리한 ‘한권으로 읽는 농식품 R&D 리포트’를 발간했다.

이번에 발간된 ‘한권으로 읽는 농식품 R&D 리포트’는 2014년에 종료된 연구 과제를 크게 농생명, 융복합, 식품 분야로 나누고, 과제별로 창출된 연구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농생명 분야의 경우 △비린내가 없고, 소화가 잘 되는 신품종 콩(경상대 정종일) △숨쉬는 농산물 포장필름 개발(강원대, 강호민) △농작물 피해주범인 뿌리혹선충을 잡는 미생물 방제제(푸르네, 박윤석) 등 70개 연구과제의 결과물을 소개했다.

융복합 분야는 △한국배의 자궁경부암 사멸효과 규명(배수출사업단, 김월수) △수출용 딸기‘BerryLicious’개발(과채류공통수출연구사업단, 이용범) △농업용 무인 헬리콥터(경북대, 구영모) △울금 및 비파나무 잎을 이용한 건강기능식품(한국인스팜, 김용재) 등 61개 과제의 연구결과를 정리했다.

다음으로 식품분야에서는 △골다공증(동우당제약, 허 담) △관절염(제주테크노파크, 윤원종) △디톡스(이푸른, 김동우) △갱년기 증상 개선(바이오믹스, 홍성빈) 등에 효과가 있는 각종 식품소재에 대한 연구결과를 비롯한 70여개 과제의 연구결과가 소개돼 있다.

이밖에도 △전통 풍미의 설렁탕 육수 대량 생산기술(이연에프앤씨, 정보연) △비가열 식품가공 기술(비케이바이오, 최혁준) △노로바이러스 및 식중독균 저감기술(한국식품연구원, 박기재) 등 식품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결과가 실려 있다.

이와 관련해 이상길 원장은“이번에 발간한‘한권으로 읽는 농식품 R&D 리포트’를 통해 농식품 R&D의 결과물이 연구자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 종사자와 일반국민들에게도 널리 알려지기를 바란다”면서 “앞으로도 매년마다 창출되는 농식품 R&D 결과를 빠짐없이 요약해 발간함으로써 최신 연구내용과 결과물이 보다 널리 확산될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에 책자를 발간한 농기평은 매년 1800억원의 연구개발 자금을 대학, 연구원, 기업 등에 지원하는 R&D 전문기관이다.


구득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