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상과당, 설탕보다 더 해롭다?

KOFRUM ‘오해와 진실’ 토론회 “과잉이 문제”…1일 10% 이내 섭취 권고

액상과당(HFCS)과 과당·설탕의 차이를 소비자에게 분명히 알릴 필요가 있으며, 액상과당이란 명칭 때문에 100% 과당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주최로 지난 8일 서울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액상과당(HFCS) 오해와 진실 토론회’에서 이 같은 주장이 나왔다.

이날 주제 발표를 한 중앙대 정명섭 식품공학과 교수는 “액상과당은 과당(55%)·포도당(40%)·맥아당 등(5%)으로 구성된 감미료로, 구성성분에서 설탕(과당50%+포도당 50%)과 별 차이가 없다”며 “소비자의 불필요한 오해를 사지 않도록 액상당·혼합당 등으로 용어를 바꿀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이번 토론회에선 액상과당이 설탕보다 단 맛이 강해 설탕을 대체하고 있다는 속설도 사실이 아니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정 교수는 “설탕의 감미도를 1로 잡았을 때 과일에 든 (순수)과당은 1.5로 더 달지만 액상과당은 0.77로 오히려 설탕보다 덜 달다”고 말했다.

유통 중인 대다수 액상과당엔 설탕보다 과당이 약간 더 들어 있지만 그 차이는 미미하고 오히려 과당(42%)이 설탕보다 적게 든 액상과당도 있다는 것이다.

정 교수는 또 “설탕이나 액상과당 모두 과다 섭취하면 충치를 일으킬 수 있다”고 전제한 뒤 “충치 예방을 위해선 설탕이나 액상과당의 함량에 신경 쓰기보다 치아 사이에 끼는 식품을 섭취한 뒤 바로 칫솔질을 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조언했다.

그는 또 ‘액상과당이 알레르기를 일으킨다’는 일부의 걱정은 과학적인 근거가 없다고 일축했다.

정 교수는 “액상과당을 생산하는 도중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단백질 성분(옥수수 단백질)이 대부분 제거된다”며 “액상과당이 알레르기를 유발한다는 연구보고는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액상과당이 비만·당뇨병·고지혈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일부 우려에 대해 서울성모병원 최창진 가정의학과 교수는 “355명의 비만 환자에게 설탕 또는 액상과당을 10주간 제공해본 연구결과가 올해 미국에서 발표됐다”며 “설탕을 섭취한 사람들과 액상과당을 먹은 사람 사이에서 혈압·인슐린 분비량·식욕조절 호르몬 분비량·간이나 근육의 지방 함량의 차이가 없었다”고 소개했다.

배제대 김정현 가정교육과 교수도 “액상과당이 설탕보다 더 나쁘다는 것은 논리에 맞지 않다”며 동의를 표했다.

패널로 참석한 분당서울대병원 이동호 소화기내과 교수는 “과당은 간에서 대사가 이뤄지므로 다량의 과당을 6개월 이상 섭취하면 지방간이나 지방간염이 생길 수 있다”며 “이는 설탕이나 액상과당 등 과당이 포함된 감미료에 모두 해당하는 얘기”라고 조언했다.

이날 토론회에선 액상과당도 결국은 ‘양의 문제’라는 데 대부분 동의했다. 그렇다면 액상과당을 어느 정도까지 먹는 것이 적당할까?

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 총 섭취열량의 10% 이내로 섭취할 것을 권고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이혜영 영양안전정책과 연구관은 “액상과당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밝힌 연구들은 주로 미국에서 나온 것으로 아직 우리 국민대상 연구는 미흡한 게 사실”이며 “앞으로 국내 연구들을 바탕으로 한국인에게 적절한 첨가당 권장량을 설정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구득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