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병원-CJ헬스케어, 대장암 치료제 개발 '가속화'
대장암 일으키는 유전자 검출 기술 CJ헬스케어에 이전
서울아산병원과 CJ헬스케어가 손을 맞잡고 대장암 항암제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다.
최근 서울아산병원 선도형암연구사업단은 대장암을 일으키는 특정 유전자 RON단백질의 역할을 규명하고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해 CJ헬스케어에 이전했다.
이번에 이전한 기술은 대장암 환자의 유전체를 해독해 항암제의 치료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앞으로 RON을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가 출시되면 높은 부가가치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ON 유전자는 발암유전자의 하나로 의학계에서 대장암 환자뿐만 아니라 유방암, 폐암, 전립선암, 췌장암 등 다양한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직검사에서 암을 일으키는 유전자로 확인됐다.
선도형암연구사업단 김태원(종양내과)․진동훈(융합의학과) 교수팀은 대장암세포를 이식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대장암세포에 RON이 발현됐는지, 활성화됐는지를 확인하고, 이를 억제시킬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
이 기술이 상용화되면 대장암 환자들에게 간단한 검사만으로도 환자의 몸 안에 RON 유전자가 있는지, 대장암의 씨앗인 RON이 몸을 공격하는 암세포로 자랐는지 여부를 진단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RON을 표적으로 삼아 작용하는 표적항암치료제를 이용해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게 된다. 정상세포에 대한 공격보다는 RON을 가진 암세포만 집중 공격해 치료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RON 유전자만을 대상으로 한 표적항암치료제는 없는 상황이다.
김태원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교수는 "암 치료의 미래라고 일컬어지는 맞춤형 암 치료가 현실화되고 있다"면서 "RON 유전자를 표적으로 하는 항암제가 나오면 환자들에게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고 기대했다.
이정신 서울아산병원 선도형암연구사업단장은 "다수의 글로벌 메이저 제약회사들이 임상연구에서 서울아산병원과 협력할 만큼 서울아산병원은 임상에서 세계 최고 수준을 갖고 있다"면서 "임상경험이 풍부한 병원과 제약사가 협력해 신약개발로 이어지고, 나아가 국가 바이오산업 발전으로 이어지는 좋은 모델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지난 2011년 아산-다나파버 암유전체연구센터를 설립하고, 2012년에는 국내 최초로 유전체맞춤암치료센터를 개소해 '맞춤형 암 치료'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