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과의사들 "비의료인 의료행위 막아내겠다"

피부과의사회, 비의료인의 문신행위 등 우려…"차별화 통해 전문영역 알려나가겠다"

  
 
현재 피부관리사, 문신사 등의 비의료인이 피부과 진료영역을 침입하려고 하자 피부과의사들이 강력 대응해 막아내겠다는 입장이다.

대한피부과의사회(회장 임이석)는 지난 2일 그랜드힐튼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비의료인의 유사의료행위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고 이 같이 밝혔다.

임이석 회장은 "피부과의 낮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치과나 한의사, 미용사 등 타 직역의 진입이 거세지고 있다"며 "상업적 활동으로 피부과전문의의 진료영역을 침입하는 타 직역에 대해 대응방안을 적극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최근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과 의료기기의 미용기기 전환 움직임에 맞물려 문신사 양성을 위한 국회 움직임이 활발해 지면서 피부과의사들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는 셈이다.

임 회장은 "문신은 바늘을 이용한 피부침습행위로 제대로 소독을 하지 않으면 감염, 흉터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문신행위는 표피와 진피층에 색소를 넣는 진피침습행위로 넣는 물질이 색소라는 점만 다를 뿐 방법적으로는 의료적인 약물침습과 동일하다고 임 회장은 강조했다.

이 같은 위험한 행위를 비의료인에게 허용할 경우 국민건강을 위협하는 단초가 될 것이라는 지적이다.

이상주 학술이사도 "문신을 지우려면 레이저치료 후에도 상처가 남고 비용 역시 하는 것 보다 많이 든다"며 "이처럼 국가 경제적으로 잘못된 것을 왜 정부는 장려하려고 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피부과의사회는 또 고·저주파 자극기 등 의료기기의 미용기기 전환 움직임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가했다.

임 회장은 "피부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을 피부관리사들이 의료기기를 사용해 치료하려고 할 경우에도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며 "만약 가족이 치료를 받는다면 그들에게 맡길 수 있겠냐"라고 반문했다.

김석민 총무이사는 "지난 5년간 끌어온 한의사의 IPL 사용 소송도 최근 한의사가 해당 장비를 사용할 수 없다고 결론이 났다"며 "이는 의료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인이 사용해야 한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하물며 비의료인이 신체적, 조직학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의료기기를 쓴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얘기"라고 비판했다.

이처럼 타 직역의 진입에 대해 피부과의사회는 기본에 충실해 국민 피부건강을 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는 방침이다.

해부학적, 조직학적 구조 등 피부에 가장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는 전문의들이 피부를 다뤄야 부작용 없이 치료가 가능하다는 대국민 홍보를 강화해 나간다는 것.

임 회장은 "타 직역들에 대한 침범이 더 거세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피부과의사들이 피부를 다뤄야 한다'는 당연한 생각을 국민들에게 알려나가 차별화시키겠다"고 말했다.

김아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