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산균 아토피 피부염 완화효과 보여

동물·인체적용시험서 개선효과 입증…기능성 2등급 인정

  
유산균이 아토피 피부염에 완화효과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 주최로 16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아토피와 유산균 심포지엄’에서 중앙대병원 김범준 피부과 교수는 “김치 유산균의 기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진행한 임상시험 결과 상태가 그리 심하지 않은 유·소아의 아토피 피부염을 완화하는 데 김치 유산균이 효과적이란 결론을 얻었다”고 밝혔다.

김범준 교수는 “아토피 피부염 진단을 받은 1∼13세 어린이 83명을 두 그룹으로 나눈 뒤 한 그룹(44명)에 김치 유산균을, 다른 그룹(39명)엔 포도당 등을 12주간 제공했다”며 “김치 유산균을 섭취한 그룹에선 아토피 증상 점수가 확실히 낮아졌고 사이토카인(체내 면역 세포가 분비하는 단백질)의 분비가 적절하게 조절됐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장내에 들어간 유산균에 의해 장내 면역세포가 활성화되고, 활성화된 면역세포가 ‘면역의 균형을 이루라’는 지령을 보낸다”며 “바로 이 균형을 통해 아토피가 개선되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설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최윤주 건강기능식품기준과 연구관은 “최근 김치에서 얻은 유산균(CJLP 133)을 비롯한 유산균 3종과 감마리놀렌산 함유 유지 1종 등 모두 4종에 대해 ‘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기능성을 인정했다”고 전했다. 
 
피부의 면역과민반응은 아토피 피부염을 뜻한다는 게 피부과 전문의들의 지적이다. 

최윤주 연구관은 “동물실험과 인체적용시험(임상시험)에서 김치 유산균의 면역과민반응 개선 효과가 일관성 있게 입증됐다고 판단해 (기능성 원료로) 허가를 내줬다”고 전했다.

하지만 아직 관련 연구결과가 적어 기능성 ‘2등급(면역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표시 가능)’에 해당되며, 앞으로 신뢰할만한 연구결과가 더 쌓이면 ‘1등급(면역 과민반응에 의한 피부상태 개선을 돕는다는 표시 가능)’으로 등급이 상향 조절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유산균(프로바이오틱스)은 콜레스테롤 저하·헬리코박터균 제거·알레르기 완화·기억력 개선·간 건강 등 다양한 효능이 기대되고 있지만 현재까지 식약처가 기능성을 공식 인정한 효능은 다섯 가지다. 

장내 유익균 증식과 유해균 억제에 도움, 면역을 조절해 장 건강에 도움, 배변활동 원활에 도움 등 기존의 세 가지 효능 외에 최근 여성의 질 건강에 도움, 과민피부 상태개선에 도움 등 두 가지가 추가됐다.  

반면 이날 심포지엄에선 유산균이 뚜렷한 아토피 완화효과를 준다고 보기 힘들다는 주장도 나왔다. 

서울성모병원 김태윤 피부과 교수는 “심한 아토피 피부염에서 효능이 입증된 경우가 없으며 전 세계에서 실시된 여러 유산균과 아토피 관련 연구에서 결과들이 들쑥날쑥하다”며 “아토피 환자들에게 유산균이나 보라지유·달맞이꽃 종자유를 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구득실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이 기사를 공유해보세요  
  • 카카오톡
  • 네이버
  • 페이스북
  • 트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