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최근 담도암 환자에게 하나로한의원 신광호 박사와 공동으로 개발하고 특허까지 출원한 홍경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용 조성물(특허출원 제2014-0013556호)을 투여해 유효성이 입증됨에 따라 화제를 모으고 있다. 김 원장은 자신의 박사학위 논문인 ‘홍경천(Rhodiola rosea Root)의 항암 및 면역증진 효능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홍경천을 통한 암치료라는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놨다. 김 원장의 연구는 종래의 동물실험이 아닌, 인간의 암세포를 배양해 사용했고 독성실험 역시 인간의 세포를 이용했고, 암세포 생육저해활성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인간의 간암ㆍ폐암ㆍ위암ㆍ유방암세포였다. 김 원장은 홍경천이 항암효과와 면역기능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홍경천(바위돌꽃) 뿌리 및 뿌리줄기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이 위암ㆍ유방암ㆍ폐암ㆍ간암 등에 대한 영향 및 B-cells, T-cells, NK cells 등 면역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했다. 그 결과 폐암세포인 A549에 대해 메탄올 추출물은 1.0㎎/mL 농도에서 76.3%의 매우 높은 억제율을 보였고, 물 추출물은 같은 농도에서 66.5%의 억제율을 기록했다. 유방암세포인 MCF-7에 대해 메탄올 추출물이 75.3%, 물 추출물 70.5%의 억제율을 각각 나타냈다. 위암세포인 AGS에 대해 메탄올 추출물은 70%, 물 추출물은 60%의 억제율을 보였다. 간암세포인 Hep3B에 대해서도 메탄올 추출물 71.7%, 물 추출물 60.2%의 억제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 홍경천 추출물이 인체의 면역증진을 돕는 물질의 생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김 원장은 “최근 담도암 환자에게 직접 홍경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암용 조성물을 투여해 유효성이 입증됐지만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 뒤 따라야 한다”고 밝히고 “난치병 치료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치료된다는 확신과 의료진에 대한 믿음”이라고 강조했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