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4년 4월 9일 당시 장기이식센터 이명덕 교수팀은 장간막혈전증으로 소장과 대장을 대량 절제해 단장증후군을 앓고 있던 이 모씨에게 생체로 딸이 소장을 기증, 국내 처음으로 소장이식 수술을 성공시켜 화제가 된 바 있다. 국내 최초 소장이식 성공 10주년 기념과 수술에 성공한 환자들이 건강하게 살아가는 것을 기념해 성모병원은 지난 8일 병원 본관 지하1층 세미나실에서 ‘소장이식 10년 이야기’ 란 주제로 공개강좌와 기념행사를 가졌다. 건강강좌는 소장이식 환자와 이식 대기 환자 및 보호자를 대상으로 ‘소장이식 스토리’(소아외과 이명덕 교수),‘소장이식이란?’(소아외과 장혜경 교수), ‘이식 후 수액관리’(소아외과 김신영 교수), ‘감염관리 Q&A’(감염내과 김상일 교수),‘이식 후 식이관리’(영양팀 임지혜 영양사)’,‘이식대기 등록안내’(장기이식센터 김형숙 코디네이터)로 구성되어 소장이식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무료로 제공했다. 기념행사에서는 소장이식 10년 역사를 기록한 영상물을 이식을 받은 환자,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와 보호자, 관계 부서 병원관계자들과 같이 시청하며 감회에 젖었다. 이어 열린 기념식에서 소장이식 환자들이 이명덕 교수팀에게 화환을 증정하며 새로운 삶을 살게 됨에 감사함을 표현했으며, 다 함께 케익을 커팅하고 앞으로도 건강하게 살아가기를 기원하며 새로운 미래의 10년을 다짐했다. 이명덕 교수는 “최근 장질환이 급증하여 많은 환자들이 짧은 창자 때문에 음식을 먹지 못하며 살아가는 등 고통과 절망에 빠져있는데 경제적인 어려움까지 겹쳐 이식을 포기하는 환자들과 소장이식을 위해 뇌사자 대기자로 등록하여 기다리는 환자들을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소장이식은 소장구조의 특성상 이물질과 세균들에 노출되 있어 세균감염 가능성이 높고, 면역체계인 임파조직이 발달되어 다른 사람의 장기에 대한 거부 반응이 강하다. 또 소장은 고정돼 있지 않고 운동성이 있어 이식 후 연결한 혈관에 문제가 잘 생기는 등 다른 장기에 비해 수술과정과 성공이 어렵기로 유명하다. |
Copyright @보건신문 All rights reserved.